이번 행사는 CCS 기술의 상용화에 대비해 이산화탄소의 포집·수송·저장 단계별 환경적 위해 요소를 파악하고 사전 예방적 제도 마련에 기여코자 마련됐다.
이에 미국 일리노이대학 로버트 핀리 박사, 호주 국제 CCS 기구 스티브 위태커 박사, 네덜란드 와그닝헨대학 연구소 클라스 커그 박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허철·박영규 박사, 수원대학교 강헌 교수 등 국내외 전문가 7명을 초청해 지식을 공유하고, 이산화탄소 포집물에 대한 각국의 법제도·처리 경험 발표 및 향후 추진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번 포럼은 CCS 사업 추진에 필요한 환경관리제도의 정비와 연구에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특히 환경분야 온실가스 감축사업의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CCS 분야는 국제적으로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시설의 상용화 등 신산업으로 창출하기 위한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다. 이에 환경부는 CCS 기술개발과 상용화에 따른 환경안전성, 신뢰성 확보를 위한 법적제도 마련을 검토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