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민주화, 복지, 일자리 등과 함께 이번 대선에서 표심(票心)을 좌우할 핵심 쟁점으로 급부상한 것이다.
특히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후보가 단일화 전제조건으로 정치쇄신을 꺼내들면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정치쇄신이 단일화 논의의 발판이 된 셈이다.
문 후보는 전날 광주 방문에 이어 29일 영등포 당사에서 열린 선대위 회의에서도 국회의원 정수 축소와 중앙당 폐지 등 안 후보의 정치쇄신안을 비판하면서 토론을 제안했다.
그는 “(우리 측이 제시한) 정치혁신 방안이 안 후보 측 정치혁신 방안과 차이가 보였다”고 각을 세우면서도 “정치혁신을 공통분모로 단일화 접점을 찾아 폭넓고 건강한 토론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후보들의 정책공약이 비슷하다는 점도 정치쇄신이 대선 의제로 급부상한 이유 중 하나다. 오히려 야당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경제민주화를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먼저 선점하는 등 후보 간 각종 공약들의 차별성을 찾기가 어렵다.
반면 정치쇄신에 대한 후보 3인의 입장은 비교적 뚜렷한 편이다.
가장 먼저 정치쇄신 논쟁을 촉발 시킨 안 후보는 △국회의원수 200명으로 축소 및 비례대표 의원 확대 △중앙당 축소 또는 폐지 및 원내정당화 △정당에 대한 국고보조금 축소 등 3대 정치혁신 방안을 내놓은 상태다.
문 후보는 국회의원수를 줄이는 데에 대해선 반대하고 있지만 비례대표 의원수를 100명으로 늘리자는 구상에는 일정 부분 동의하고 있어 안 후보와 접점을 이루고 있다.
두 후보에게 정치쇄신 이슈를 선점당한 박 후보는 정치쇄신 논의에 있어서는 소극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박 후보는 지난달 후보 수락연설에서 “공천 시스템과 정치 발전을 위한 일대 혁신책을 만들겠다”며 안대희 전 대법관을 정치쇄신특별위원장에 앉혔으나 아직까지 구체적인 정책은 나오지 않고 있다.
상성특검제 등 검찰개혁 이슈 등이 간간히 나오기는 했지만 너무 안 위원장의 ‘개인기’에만 의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정치쇄신특위는 이번 주 발표를 목표로 정치쇄신안 마련에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안 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당사 쇄신특위위원장실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지난 25일 박 후보에게 정치개혁과 깨끗한 정부, 사법규제기관 개혁 등 세 가지 방안으로 상당히 강력한 정치쇄신안을 마련해 기존에 발표된 것을 포함해 건의했다”고 밝혔다.
그는 안 후보의 정치쇄신안 중 국회의원 정원 축소에 대해 “일하는 국회, 일하는 정당이 돼야 한다는 점에서 무조건적인 국회의원 정원 감축은 현재로선 부적절하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한편 문·안 후보 진영은 자신들의 정치쇄신안에 대한 공개토론에 나서는 등 정국 주도권을 놓고 치열한 ‘기싸움’을 벌이고 있다.
문 후보 캠프의 이인영 공동선거대책위원장, 안 후보 캠프의 송호창 선공동거대책본부장은 오는 이날 오후 서울 중구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대선 후보캠프에 묻는다-정치제도개혁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열리는 토론회에 참석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