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와 구글코리아는 지난 2월부터 혁신 아이디어를 발굴해 서비스화 및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글로벌 K-스타트업 프로그램 2012를 추진해 왔고 앱센터운동본부는 2009년부터 개발자 네트워크인 앱센터를 전국에 설립.운영하면서 국내 모바일.SW 및 콘텐츠 산업 육성에 기여해 왔다.
양해각서는 멘토링, 초기 창업자금 등 인터넷 스타트업에 대한 창업 보육을 위한 지원, 인터넷 스타트업 창업보육센터 구축.운영에 관한 사항, 인터넷 스타트업 글로벌 진출을 위한 국내 및 해외 현지 전문가 인적네트워크 구성.운영에 관한 사항 등을 담고 있다.
양해각서를 통해 글로벌 K-스타트업에 이어 글로벌 시장을 겨냥해 창업을 하고자 하는 스타트업 기업이 3개월간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해 기술, 비즈니스 전문가 멘토링 등 창업 준비를 하고 초기 창업자금도 지원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됐다.
실리콘밸리에서 해외창업을 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현지 법률, 경영, 기술 전문가 네트워킹도 제공해 해외현지 창업 준비도 도울 예정이다.
박재문 방통위 국장은 ”글로벌 K-스타트업 프로그램이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을 발굴하는데 중점을 두었다면, 이번 협력을 통해 단기간에 집중적인 창업보육을 통해 초기 스타트업을 성장시켜 해외로 진출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추게 되었다”며 “세 개 기관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국내 스타트업 육성과 지원 시스템을 체계화해 아이디어만으로 도전하고 성공할 수 있는 기회와 문화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염동훈 구글코리아 대표는 “올해 초 방통위와 시작한 글로벌 K-스타트업 프로그램에 이어 이번 창업보육센터 구축을 통해 창업자 발굴부터 보육, 글로벌 진출 과정을 지원함으로써 국내 우수 개발인력들의 창업의지를 북돋우고 싶다”며 “국내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혁신적인 제품이 탄생하는데 구글이 장기적인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김진형 앱센터운동본부 이사장은 “그동안 구축해 온 국내 및 해외의 인적네트워크를 잘 연결시켜 국내 스타트업들이 시행착오 없이 해외 시장에 진출해 활약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드는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