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9월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현황(잠정)'에 따르면 3분기 중 신규부실 발생 규모는 5조8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1조1000억원 줄었다.
부실채권 규모는 21조900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1조원 증가했다. 기업여신 부실이 18조원으로 82.1%를 차지했다. 그 밖에 가계여신 3조6000억원(16.6%)과 신용카드 채권 3000억원(1.3%) 등이다.
가계여신 부실채권비율은 0.8%로 집계됐다. 부실채권비율은 총여신 대비 고정이하여신의 비율을 의미한다. 이는 지난 2006년 9월 말 0.81% 이후 6년 만에 최고치(분기 말 기준)이다.
주택담보대출 부실채권비율도 0.76%로 지난 2006년 3월 말 0.82% 이후 6년 반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집단대출 분쟁이 부실채권비율을 높인 주요인이다.
집단대출 부실채권을 빼면 주택담보대출 부실채권비율은 0.76%에서 0.39%로 내려간다. 단, 금감원 측은 집단대출 부실여신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기업여신(1.93%)과 중소기업여신(2.33%)의 부실채권비율은 전분기 말 대비 각각 0.09%포인트, 0.02%포인트 올랐다. 국내은행 전체 부실채권비율은 1.56%로 전 분기보다 0.07%포인트 상승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올해 말 금감원의 국내은행 부실채권 목표비율은 1.3%"라며 "국내은행들이 연말 부실채권 정리에 총력을 기울이도록 지도하고, 충당금을 확보하기 위해 배당 등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