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2010년 이후 한시적 취득세 감면 기간의 아파트 매매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마지막 한달 거래량이 35~64% 늘어났다.
2010년 이후 한시적 취득세 감면 조치는 2010년(1~12월), 2011년(3~12월), 올해(9~12월) 등 3차례에 걸쳐 진행됐다.
9억원 초과 주택을 매입한 다주택자에 한해 취득세를 2%로 반감해줬던 2010년은 1~11월 월평균 거래량이 4만5969건이었으나 12월에는 7만5천255건으로 64% 늘었다.
취득세 감면 효과를 누리려는 막달 수요는 2011년에도 나타났다. 9억원 이하 1주택자는 1%, 9억원 초과 다주택자는 2%로 각각 반감했던 지난해 12월 전국 거래량이 7만6918건을 기록해 평균 5만7천126건보다 35% 증가했다. 특히 지방은 12월 거래량이 5만1619건으로 역대 최고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그러나 올해는 취득세 감면 기간이 3개월에 불과하고 12월 대선에 따른 부동산 정책 불확실성에 막달 효과가 예년같지 못할 것으로 업체는 분석했다.
특히 올해는 9월 거래량이 2만6165건으로 작년 동기간 5만260건의 절반 수준밖에 되지 않는 등 부동산시장이 얼어붙어 막달 효과를 기대하기가 더 어렵다.
나인성 부동산써브 연구원은 “올해는 3~5월 봄 이사철 거래량만 4만건을 넘었을 뿐 거래 위축이 심각해 취득세 감면 막달인 12월도 올해 월별 거래량 최고치인 4월의 4만6000여건을 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내년부터 취득세를 2~4%로 원상 복귀시키는 법 개정안은 최근 국무회의를 통과해 국회 본회의만 남겨두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