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OECD에 따르면 한국의 9월 CLI는 100.46으로 전월의 100.41보다 0.05포인트 상승했다.
경기선행지수(CLI)는 산업활동동향과 국내총생산(GDP) 흐름, 통화량 등을 복합적으로 계산한 것으로 4~6개월 후의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로 쓰인다. CLI가 100 이상에서 오르면 경기가 확장한 상태이며 내려가면 하강 상태다. 100 미만에서 전달 대비 내리면 침체, 상승하면 회복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CLI는 지난 4월 100.05로 100선을 돌파한 이래 지난 5월부터 8월까지 각각 100.2, 100.3, 100.36, 100.41로 매월 증가해 왔다. 특히 지난 11월부터는 10개월째 지수 자체가 상승세다.
지난 9월 OECD의 CLI 평균은 100.22로 전달과 같았다. 한국이 속한 아시아 주요 5개국(중국ㆍ인도ㆍ인도네시아ㆍ일본ㆍ한국) 평균은 99.12로 한국보다 낮았다. 유로존의 평균은 99.35로 지난해 12월 100선이 붕괴한 이후 계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