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내년부터 지역별로 우수한 공급업체를 선정, 어린이집과 계약을 체결해 품질 좋고 저렴한 급식재료를 투명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공동구매를 하기로 했다. 재래시장이나 인천지역 내 중소업체가 공급업체로 선정될 수 있는 방안도 강구된다.
현재는 남구 관내 66개 시설에서만 추진 중인 공동구매가 시내 다른 지역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민간 및 가정어린이집에 안내와 홍보를 할 방침이다.
회계집행이 투명하고 보육의 질이 높은 국공립어린이집을 현재 108곳에서 2016년까지 208곳으로 확충하는 ‘행복백만 프로젝트’도 추진키로 했다.
이에 따라 현재 5.24%인 국공립어린이집의 비율은 2016년 이후에는 8.44%로 높아지며, 국공립어린이집의 수용아동은 1만명에 이르게 된다.
인력확충으로 보육서비스 품질도 개선키로 했다. 시와 10개 군·구의 어린이집 담당 공무원수는 총 24명으로, 인천시내 2천141곳의 어린이집을 지도점검하려면 약 3.4년이 소요된다.
시는 또 보조금을 부정 수령하거나 유용한 어린이집에 대해서는 1년간 냉난방비, 차량운영비 등 시비보조금 지원을 중단키로 했다.
대신 매년 모범 어린이집을 선정해 1년간 지도점검 면제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무상보육 시행이후 보육수요와 보육예산은 급증하고 있으나 보육료 부정수급 등 각종 위반행위는 줄지 않고 있다”며 “어린이집에 대한 불신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투명성 확보와 위반행위 예방을 위해 대책을 내놓게 됐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