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지식경제부가 발표한 수출 품목별 동향 분석에 따르면 작년 에너지산업 수출은 2009년(13.9%)부터 2010년(14.4%), 2011년(17.5%), 2012년(18.7%) 매년 상승세를 기록했다.
특히 경제 개발에 따른 중국의 석유화학 수요가 급증하면서 수출 호조를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유화 수요(수지・원료・고무 기준)는 지난 2001년 37억달러에서 2011년 103억달러로 연평균 10.8%의 증가세를 보였다.
또한 국제 유가의 꾸준한 상승세와 시장 다변화 등 수출 확대 노력도 수출 비중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드러났다. 최근에는 대지진 등으로 인한 일본의 에너지 수요 증가, EU 수출 증가등의 요인도 석유제품 수출에 증가에 한 몫을 더했다.
자동차, 일반기계, 철강 등 제조업 부분은 자동차 부품 수출 확대와 신흥국 지역에 대한 수출 증가로 호조세를 띠고 있다. 자동차부품 수출비중은 전년대비 4억5000만달러(0.3%) 증가했고, 중동(82억달러) 중남미(69억달러) 지역에 대한 수출증가가 이어졌다.
2000년대 초중반('01~'04년)의 국내 수출을 이끈 IT산업의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등 고부가가치 제품 또한 증가세를 보이며 세계시장 점유율 확대 추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섬유와 선박의 수출은 최근 급감하면서 감소세를 보였다. 섬유는 중국·ASEAN 등지로의 생산기지 이전에 따라 수출 비중이 줄었고, 선박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선가·물량 등 여건 악화로 수출 둔화를 보이고 있다.
가전, 컴퓨터, 무선통신기기 등도 해외생산 확대ㆍ단가 하락 등에 따라 수출비중이 큰 폭으로 축소했다. 무선통신기기는 지난 2000년대 중반까지 수출비중이 꾸준히 증가했으나 최근 해외생산 확대로 수출비중아 급락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