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수출 채산성이란 수출 단위당 벌어들인 이익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수출가격에서 수출비용(생산비)을 차감함으로써 도출된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12년도 3분기 수출채산성 분석' 보고서를 통해 올 3분기 수출채산성은 전년 동기대비 1.3% 악화됐으며, 10월에는 환율 하락으로 8.1%나 악화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수출채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수출가격과 수출비용을 고려했을 때 금년 2분기는 수출채산성이 전년 동기대비 0.2% 개선됐지만 3분기에는 1.3% 악화됐다고 분석했다. 3분기 채산성 악화는 수출비용이 전년 동기대비 1.1% 하락했지만 수출가격이 2.2%로 더 크게 하락했기 때문이다.
10월에는 환율이 하락하면서 수출채산성이 더욱 악화된 것으로 추정됐다. 실제 올 10월 들어 원달러 환율은 1107원(월평균)을 기록하면서 작년 10월에 비해 4.2%나 하락했다.
국제무역연구원 강석기 연구원은 “달러기준 수출단가가 회복되지 못하는 가운데 최근에는 환율하락이 수출채산성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채산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수출기업은 수출상품의 고부가가치화를 도모하는 한편, 환리스크 헷지를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