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물가 역시 하락세로 전환했다.
1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0월 수출입물가지수’에 따르면 이 기간 수입물가는 전월에 비해 3.3% 하락했다.
전월대비 수입물가 상승률은 지난 3월 1.7%에서 4월 -1.0로 떨어진 이후 7월(-0.8%)까지 4개월 연속 내리막을 걸었다. 8월 1.7%로 반등한 뒤 9월에도 0.9%로 상승했으나, 지난달 상승세는 도로 꺾였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서는 6.4% 떨어져, 전월(-2.4%)보다 하락폭이 커졌다.
수입물가가 떨어진 데 대해 한은 경제통계국 관계자는 “유가 및 환율이 하락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지난달 두바이유(월평균)는 배럴당 109.0달러로 전월 111.2달러보다 2.0% 하락했다. 미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 또한 같은 기간 평균 1124.8원에서 1106.9원으로 1.6% 절상됐다.
품목별로는 원자재의 경우 대두와 옥수수 등 농림수산품이 0.8% 하락하고, 원유와 철광석 등 광산품도 5.5% 하락하면서 전월대비 5.1% 낮아졌다.
중간재는 전월보다 2.1% 하락했다. 석유 및 화학제품이 각각 2.7%와 1.1% 하락했으며, 1차철강제품 및 컴퓨터·영상음향·통신장비제품 등이 3.3%와 2.2%씩 내렸다.
자본재 역시 전월대비 1.8% 떨어지며 로 전월(0.4%)에서 하락 전환했고, 소비재도 전월 1.7% 상승한 데서 1.5% 하락으로 돌아섰다.
이와 함께 수출물가도 3개월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10월 수출물가는 환율 하락 등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1.9% 내렸다. 전년동월대비로는 5.2% 떨어져 2개월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다.
농림수산품은 전월대비 3.7% 하락했다. 전월(-5.2%)보다는 하락폭이 다소 축소됐다.
공산품의 경우 컴퓨터·영상음향·통신장비제품, 석유화학·고무제품 및 운송장비제품 등이 모두 내리면서 전월대비 1.9% 낮아졌다.
한편 계약통화(수입계약을 맺은 외국통화) 기준 수입물가는 전월대비 1.8%, 수출물가는 0.4% 하락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