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19일 대선과 함께 치러지는 서울시교육감 선거는 사실상 여야의 대리전으로 치러질 것으로 보여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진보 진영 서울시교육감 후보 단일화 기구인 ‘2012 민주진보 서울시교육감추대위’는 지난 13일 밤 여론조사, 배심원 선거 그리고 시민선거인단 투표 결과를 종합해 이 후보를 최종 단일 후보로 선출했다. 득표율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 후보는 “일제고사를 없애고 고등학교까지 무상 교육을 실시하겠다”고 공약으로 밝혔다. 또 “고교 서열화를 심화시키는 자율형사립고와 외국어고에 대한 감독권을 강화하겠다”는 공약도 발표한 바 있다. 대부분 곽노현 전 교육감의 교육 제도를 승계하겠다는 입장이다.
경북 영덕 출신인 이 후보는 영남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1974년부터 경북 울진 제동중학교에서 교사 생활을 시작했다. 1989년부터 전교조 사무처장으로 활동하다 투옥됐다.
이후 1998년 전교조가 합법화되면서 풀려나 선린인터넷고등학교로 복직한 후 2001년 전교조 9대 위원장으로, 3년 뒤인 2004년에는 민주노총 제4기 위원장으로 활동했다. 이 후보는 현재 한국갈등해결센터 상임이사로 일하고 있다.
보수 진영 단일 후보로 선출된 문용린 후보는 “학생들 기초 학력을 튼튼히 하면서 학교 폭력에서 자유로운 학교를 만들겠다”는 서울 교육 비전을 내놓은 상태다. 문 후보는 “이념 교육과 평등주의 교육을 학교 현장에서 추방하겠다”고 밝혔다. 전교조 때문에 학교와 교육이 정치화됐다는 것이다.
문 후보는 무상 급식에 대해서는 조건부 찬성 입장이다. 그는 “산재한 교육현안 중 무상 급식이 우선순위로 해결할 문제는 아니지만 교육의 혼란을 줄이는 것도 중요하다”면서 “학생들에게 하겠다고 (전임자가) 약속했으므로 재정 범위 안에서 단계적으로 실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곽노현 전 서울시교육감이 추진했던 교육정책 중에 일부는 수용해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예컨대 곽 전 교육감이 도입한 혁신학교의 토론 수업과 공동체 수업 등은 장점이 많으므로 이를 다른 학교 현장에도 도입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 소외 계층에 대한 교육 복지를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하겠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