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윤대 KB금융그룹 회장(왼쪽 여덟째) 등 한-중 금융권 인사들이 21일 북경시 조양구 국민은행 중국법인 본사에서 열린 현지법인 및 북경지점 동시 개점식에 참석,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김종범 북경지점장, 구태진 KB국민은행 사외이사, 박재환 KB국민은행 사외이사, 김동건 한국금융감독원 북경대표처 수석대표, 왕윤종 중국한국상회 회장, 임영록 KB금융지주 사장, 백용천 주중대한민국대사관 재경관, 어 회장, 박영호 SK그룹 부회장, 민병덕 KB국민은행장, 조첩 북경시 조양구 금융반 부주임, 진소운 중국현지법인 동사장, 오갑수 KB국민은행 사외이사, 김대식 중국현지법인장. |
아주경제 김부원 기자= KB금융그룹이 중국 시장 진출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국민은행 중국 현지법인과 베이징(北京)지점을 동시 출범하는 데 성공하며 KB금융의 '현지화 전략'이 더욱 탄력을 받게 된 것이다.
KB금융은 21일 국민은행 중국 현지법인과 베이징지점 동시 개점 기념식을 베이징시 차오양구(朝陽區) 소재 중국 현지법인 본사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개점식에는 어윤대 KB금융 회장, 임영록 KB지주 사장 및 션지엔구어 중국전문경영자협회 부회장, 이규형 주중한국대사를 비롯해 양국의 주요 인사 400여명이 참석했다.
중국 금융당국이 베이징 지역에 외자은행 지점과 현지법인을 동시 허가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이는 KB금융의 경쟁력이 그만큼 높게 평가받았다는 의미이다.
중국 현지법인인 'KB국민은행 중국유한공사'는 베이징지점을 포함한 광저우, 하얼빈, 쑤저우 등 4개 지점을 시작으로 동부연안 주요도시인 상하이(上海), 톈진(天津), 선양(瀋陽), 칭다오(靑島) 등을 중심으로 영업네트워크를 늘려나갈 계획이다.
민병덕 행장은 "KB국민은행 중국유한공사가 중국사업을 진두 지휘해 KB금융의 강점인 소매영업 노하우와 IT기술 및 상품개발능력을 발휘할 것"이라며 "중국 진출 한국계 기업과 교민은 물론 중국 기업 및 개인고객까지 영업범위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중국 진출과 관련해 KB금융의 목표는 현지화다. 이를 위해 KB금융은 현지법인 동사장(이사회 의장) 및 사외이사로 중국 인사를 영입하고, 관리 및 영업담당 임원들을 현지 금융전문가로 임명했다.
아울러 KB금융은 △글로벌 비즈니스 전문가 과정 등을 통한 그룹 내 중국 전문인력 양성 △현지 경영진 및 현지 우수 인력 채용 △현지 인력의 고위직 승진 및 경력개발을 보장하는 인사 및 보상 시스템 운용 △중국 현지법인의 경영관리 시스템 강화 △KB금융의 핵심역량 이전 등을 적극 시행하며 '고객에게 감동을 주는 현지화된 KB중국'으로 거듭날 것을 계획하고 있다.
KB금융은 이번 중국 현지법인 개설로 4개 현지법인(중국·런던·홍콩·캄보디아), 9개 지점(베이징·광저우·하얼빈·쑤저우·뉴욕·동경·오사카·오클랜드·호찌민), 2개 사무소(하노이·뭄바이), 1개 지분투자기관(카자흐스탄 Bank CentreCredit) 등 총 16개의 해외네트워크를 보유하게 됐다.
또 KB금융은 이날 '동북아 시대의 한ㆍ중 금융협력'을 주제로 KB국민은행 한ㆍ중 금융경제원탁회의(이하 포럼)를 개최했다. 포럼에 참석한 양국의 금융권 수장들과 전문가들은 '한·중 FTA와 금융협력' '위안화 국제화와 한·중 통화협력' '중국 금융시스템 자유화 전망' 등에 대해 심도있는 견해를 나눴다.
어윤대 회장은 "한ㆍ중 연간 교역규모는 비약적으로 커졌지만, 금융교류는 여전히 미약한 수준"이라며 "이번 베이징지점과 현지법인 동시 출범 및 포럼 개최는 한ㆍ중 금융산업 발전을 위한 시발점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