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문·안 후보 양 캠프에 따르면 지금까지 협상을 통해 단일화 방식으로 여론조사와 공론조사 등 2가지 방안이 검토됐지만 공론조사 도입이 불발되면서 여론조사만 남은 상황이다.
이에 양측이 여론조사를 어떤 방식으로 설계할지가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는 있다. 양측은 설문 문항을 놓고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 줄곧 문 후보 측은 적합도, 안 후보 측은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의 양자 가상대결 방식을 주장해왔다.
문 후보 측은 야권 단일후보를 뽑는 단일화인 만큼 두 후보간 직접 경쟁이 당연한 것 아니냐는 입장이다. 구체적으로는 ‘문재인-안철수 후보 중 야권 단일후보로 누가 적합하다고 생각하십니까’와 같은 설문 문항을 선호하고 있다.
안 후보 측 유민영 대변인은 “정당 대표를 뽑는 것이 아니라 국가 대표를 뽑는 것”이라고 표현하는 등 본선 경쟁력을 확인하는 식으로 여론조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설문 문항을 두 가지로 나눠 ‘박근혜-문재인 후보 중 누구를 지지하십니까’ ‘박근혜-안철수 후보 중 누구를 지지하십니까’와 같은 질문으로 설문을 진행한 뒤 두 후보가 각자 얻은 지지율을 비교하자는 것이다.
이같은 대립은 지금까지 각종 여론조사를 살펴보면 문 후보는 각종 여론조사 상 ‘야권 후보 적합도’를 묻는 문항에서 꾸준히 안 후보를 앞서고 있다. 제1야당인 민주당을 앞세워 최근들어 그 격차를 점점 더 넓혀가고 있는 모양새다.
안 후보는 박 후보와의 일대일 양자대결을 전제로 한 조사에서 문 후보에 비해 우위를 유지하고 있다. 문 후보가 박 후보에게 오차범위 안팎으로 밀리는 조사가 많은 반면, 안 후보는 오차범위 안팎으로 박 후보를 앞서는 게 많다.
이에 야권에서는 적합도와 경쟁력을 모두 반영하는 ‘절충안’이 나올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지난 2002년 노무현-정몽준 후보 간 단일화 협상에서도 양측이 지금과 비슷하게 입장차를 보여 결국 ‘경쟁력’과 ‘적합도’를 모두 고려한 문항으로 합의한 바 있다.
당시 문항은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와 경쟁할 단일 후보로 노무현·정몽준 후보 중 누구를 지지하십니까’였다. 이번에도 어느 한쪽이 상대측 주장을 대폭 수용하지 않는 한 이같은 절충안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
문 후보 측 홍영표 종합상황실장도 이날 라디오에 출연해 여론조사 문구와 관련해 “경쟁력과 적합도를 모두 반영할 수 있는 단어가 한 문장에 들어갈 수 있다”고 말했다.
여론조사 시기도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조사 시기가 주말이냐 주중이냐에 따라 유불리가 갈린다는 분석이다. 상대적으로 20·30대 지지가 높은 안 후보는 주말인 24~25일 조사가, 장년층의 지지도가 높은 문 후보는 주중인 22~23일이 유리하다는 것이다.
여론조사 업체선정 역시 중요한 사안이다. 여론조사 업체는 양측이 제시한 기관 중 공통되는 곳을 몇 군데 추려 선정할 가능성이 높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