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관광공사 이참 사장은 22일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채욱 사장이 지난 10월 열린 국정감사에서 발언한 내용 중 관광공사가 인천국제공항 내에 운영하고 있는 면세점이 지난 5년간 51억원의 적자를 내 국민들의 세금을 축냈다고 증언해 한국관광공사와 공사의 전·현직 임직원들의 명예를 실추시켰다"며 "이채욱 사장의 발언은 사실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한국관광공사의 존립 자체를 부정하고 있어 부득이 고소를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태는 면세점 민영화를 둘러싸고 최근 두 기관 간에 갈등의 골이 깊어졌기 때문이다. 지난 2008년 발표된 이명박 정부의 공기업 선진화 방침에 따라 인천공항 내 관광공사 면세점은 내년 2월 말 문을 닫게 된다. 하지만 관광공사는 "면세사업이 공적 기금 조성의 역할 대신 민간 특혜로 돌아갈 우려가 있다"며 민영화에 반대해 왔다.
특히 이채욱 사장의 발언이 불씨가 됐다. 한국관광공사 측은 언론을 통해 이 사장의 발언을 위증이라며 강하게 비판했고, 이에 대해 공항공사 측이 관광공사 측에 항의공문과 함께 사과를 요구하는 등 두 공기업 간의 싸움은 고조되어 갔다. 더욱이 외래관광객 1000만명을 달성한 22일, 인천공항공사가 면세점 민영화 정책에 따라 새 면세점 입찰공고 계획을 언론에 발표하며 한국관광공사를 당혹케 했다. 이에 대해 관광공사는 '고소'라는 초강수를 둔 것이다.
이번 사태에 대해 국민들이 두 공기업을 바라보는 시선은 어떠할까. 밥그릇 싸움으로 비쳐지지 않을까. 공항공사 측은 관광공사가 운영 중인 공항 내 면세점을 철수시키고 민간 운영으로 돌리게 되면 임대료 수입이 늘어나게 돼 민영화를 적극 찬성하게 되는 반면, 관광공사는 면세점 철수로 인해 조직과 인력이 축소되기에 이를 반길 이유가 없다. 두 공기업의 기득권 싸움으로 비쳐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두 공기업은 더 이상의 갈등을 접고 대화로 풀어야 한다. 한국관광공사도 고소를 취하해야 하고, 인천국제공항공사도 고압적인 자세를 버리고 대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 물론 대화의 핵심은 '누군가의 이득이 크냐'가 아니라 '무엇이 국민을 위한 길인가'여야 할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