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최수연 기자=새누리당 박근혜,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후보가 중앙선관위에 대통령 후보등록을 마치면서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됐다. 앞으로 두 후보는 22일간 본격적인 대권 쟁탈전에 나선다.
3각구도로 진행됐던 대권경쟁은 지난 23일 무소속 안철수 전 대선후보가 사퇴 선언을 하면서 2자구도로 좁혀졌다.
이에 따라 본격적으로 선거운동에 돌입한 박 후보는 후보등록을 마치고 비례대표 국회의원직 사퇴를 선언하며 대선에서 국민의 신뢰를 받지 못한다면 정치 여정을 마감하겠다고 배수진을 쳤다.
문 후보는 야권 단일후보의 막중한 책임, 정권교체의 역사적 책임이 자기에게 주어졌다며 의원직은 '당선 후 사퇴'하겠다고 밝혔다.
비장한 각오를 한 대선후보인 만큼 그들의 공약 또한 볼거리다.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에 따르면 박근혜 후보는 5년간 134조5000억원(연평균 27조원) 규모의 재원 대책을 마련했다.
문 후보 또한 연평균 34조8000억원을 조달해 34조7000억원을 지출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시한 공약대로 이뤄진다면 한국은 '살기 좋은 나라' '서민이 살 만한 나라'로 적어도 한 발짝 다가서게 될 것이다.
하지만 두 후보의 공통점은 공약에 대한 재원조달의 구체적인 입출항목이 보이지 않는 사례가 즐비하다는 것이다.
또한 공약에 들어갈 재원을 어떻게 마련할지는 제시하지 않은 상태다.
일각에서는 국제통화기금(IMF) 위기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유럽 발 재정위기는 모두 정책의 실패에서 비롯된 일이라며 정책 공약에 대해 신중할 것을 당부했다.
구체적인 계획과 대책 없이 '대통령만 된다면…'이라는 안일한 생각으로 달콤한 정책을 제시하며 일단 국민들을 꼬드겨 보자는 생각은 위험한 발상이지 않을까.
두 후보의 공약이 어린이 불장난으로 그쳐선 안될 것이다. 결국 정책 실패는 고스란히 국민의 부담으로 돌아가기 때문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