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현지시간) 주요 외신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제67차 유엔총회 3위원회는 북한인권결의를 투표 없이 컨센서스로 채택했다.
북한, 중국, 베네수엘라, 쿠바는 결의 채택에 반대해 컨센서스에 참여하지 않았다.
유엔 총회에서 북한인권결의가 투표없이 채택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올 3월 제19차 인권이사회에서 컨센서스로 채택된 데 이어 이번 총회에서도 북한인권결의가 컨센서스로 채택된 것은 북한의 인권상황이 심각하다는 데 국제사회의 공통된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유엔총회 북한인권결의는 지난 2005년부터 매년 표결로 채택돼 왔다. 매년 한국, 미국 등 50여개국이 유엔총회 북한인권결의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2008년부터 이 결의에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번 결의에선 예년과 같이 심각한 북한 인권상황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면서, 북한 인권상황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는 부정적인 평가와 북한 내 정치범수용소에서 심각한 인권침해가 자행되고 있다는 내용이 추가돼 지난해 총회결의에 비해 내용이 강화됐다.
구체적으로 고문, 불법적ㆍ자의적 구금, 연좌제, 정치범수용소, 사상과 표현의 자유ㆍ이동의 자유 제한, 여성과 어린이에 대한 폭력 등 북한내 심각한 인권침해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면서 이의 즉각적인 중단을 촉구했다.
이외에 △인권침해자 독립적인 재판부 앞에서 처벌 △밀입국, 인신매매, 강탈 등을 통해 난민을 착취하는 자들 기소 등도 요구했다.
탈북자들에 대해선 “모든 국가가 강제송환금지의 기본원칙을 존중하고 피난처를 구하는 사람들을 인도적으로 대하고, 피난처를 구하는 사람들의 인권보호를 위해 유엔난민최고대표 및 이 사무소에 방해받지 않는 접근을 보장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