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근 제주평화박물관장 “매각 이후 경영권유지 주장은 사실 아니다!”

  • 도와 문화재청에 매각 되고나면 문화재가 정상적으로 잘 유지되는 것을 바랄뿐

아주경제 진순현 기자=이영근 제주평화박물관 관장은 “박물관 매각이후에 경영권을 유지하겠다”는 여론은 사실이 아니라고 29일 일축했다.

단지 고용 승계와 시설투자에 따른 정책자금 환수 축소 등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매각이 되고나면 문화재청 또는 도에서 관리하는 원장이 새로 임명될 게 아니냐” 며 “급여를 받지 않고서라도 주차관리를 하든 현장에서 남아 박물관을 지키고 싶다”고 뜻을 밝혔다.

이어 “지난 1996년부터 나는 이 현장을 떠나본 적이 없다” 면서 “문화재가 정상적으로 잘 유지되는 것을 바랄뿐이다”고 말했다.

또 “업무의 연속성이나 숙련도, 고용 안정 부분을 감안할 때 어느 선까지 고용승계는 반영해 주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특히 시설투자에 따른 정책자금 환수 축소 요구는 “2000~2009년까지 9년동안 사용하다 낙후돼 2010년부터 연차적으로 동굴보수, 화장실 보수 등 감가상각에 대한 부분을 말하는 것이다” 며 “그동안 문화재적 교육적 가치로 보존하면서 들인 비용과 공도 평가해주길 바란다”고 설명했다.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 26일 ‘제주가마오름 일제동굴진지와 제주전쟁역사박물관(일명 제주평화박물관)’의 토지 11필지와 박물관 건축물 및 소장자료를 포함한 전체자산이 모두 61억5600만원으로 잠정 평가됐다.

아울러 도에서는 평화박물관을 매입할 경우 시설투자에 따른 정책자금(9억4000만원)을 매입과 동시에 환수할 계획이다.

61억원 감정평가액에서 환수정책자금을 제하면 실질적인 매매 협상가액은 52억원 정도로 압축된다.

한편, 이원장은 “그 동안 박물관을 어떻게든 운영해보려고 사채를 빌려 썼다” 면서 “지난 3월부터 매각문제가 논의되는 과정에서부터 지금까지 이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도와 문화재청은 사채 규모는 고려대상이 아니며 감정평가 결과대로 보상할 뿐이라고 밝히고 있다” 며 “우선 협상이 조속히 이루어지도록 바라는 쪽은 우리 평화박물관측이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