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촉된 위원은 정기옥 엘에스씨푸드 대표이사, 최금주 화이버텍 대표이사, 김연순 여성민우회 생협연합회장, 이미영 서울사회적기업협의회 대표, 강정화 한국소비자연맹 사무총장, 김자혜 소비자시민모임 사무총장, 오미예 iCOOP 소비자활동연합회장, 김미선 에듀머니 공공사업 본부장, 임은경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사무총장, 최인숙 중소상인살리기 전국네트워크 사무국장 등으로 시민단체, 기업, 전문가, 교수, 시의원 등 총 41명이다.
위원들의 임기는 2년이며 행정1부시장과 민간위원 1인이 공동위원장을 맡는다.
위원회는 ▲산업경제 ▲사회적경제 ▲생활경제 ▲풀뿌리경제 등 4개 분과(특위)로 구성됐다. 경제정책 전반에 대한 심의·자문과 함께 경제환경 변화에 맞는 의제발굴·정책개발을 담당한다. 또 시민사회의 다양한 의견 수렴 창구로 현장에 기반한 정책 발굴과 자문을 통해 경제정책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방향도 제시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기존의 기업지원 및 노동정책과 더불어 사회적 경제 등 자생적 경제 활동 지원을 포괄하는 사업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해 정책 상호간의 우선순위도 조정할 방침이다.
‘산업경제분과위원회’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균형발전, 미래 성장동력산업 발굴·육성, 도시형제조업 유지·발전, 중소기업육성 정책 등을 담당한다.
‘사회적경제분과위원회’는 사회적기업·마을기업·협동조합 등 지역공동체 활성화,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 등을 맡는다.
‘생활경제분과위원회’는 물가안정, 소비자권익보호, 민생침해 사각지대 관리를, ‘풀뿌리경제특별위원회’는 소외계층 보호를 위한 사회안전망 확보, 대·중소기업 상생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자문 및 협의조정·심의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박원순 시장은 축사에서 “서민경제의 시름을 덜어주고 시민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희망경제위원회가 시민의 뜻을 대변해 적극적으로 활동해 달라”고 강조했다.
권혁소 시 경제진흥실장도 “서울시의 경제정책개발과 자문에 시민사회의 폭넓은 참여를 보장하는 게 희망경제위원회 출범의 취지”라며 “민관협력을 통한 실효성 있는 정책수립 및 자문시스템으로 우수한 모델을 구축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