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청은 내년부터 모든 학교를 혁신학교화하기 위해 전 초·중·고교에 창의지성교육 프로그램을 보급, 적용한다.
평가 역시 창의성을 평가하는 논술평가와 함께 교사별 평가가 전국 처음으로 확대 실시된다. 초등학교부터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등 일제고사 형태의 시험이 단계적으로 폐지된다.
또한,학생들의 태도, 협동, 책임, 자아존중감 등과 관련된 능력 평가도 처음으로 도입된다.
혁신학교와 일반 학교를 연계한 ‘혁신학교 클러스터 협의회’를 만들어 혁신교육 사례를 공유한다. 이를 위해 도교육청은 시·군 지역교육청의 기능과 권한을 강화해 실질적인 혁신교육 지원센터로 만들 계획이다.
지역교육청의 행정 업무를 줄여 장학 업무에 치중하도록 하고, 도교육청이 갖고 있는 고등학교 지도권한 및 교장·교감에 대한 인사권과 평가권도 50% 위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학교행복지수를 조사한 뒤 이를 학교 교육력 판단기준으로 삼아 새로운 학교 문화를 유도할 방침이다.
혁신학교 시즌2는 2009년 9월 첫 지정 이후 내년 3월 195개교로 늘어나는 혁신학교 정책이 정착기에 접어들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김 교육감은 “내년부터 지난 3년간 경험을 바탕으로 경기도 모든 학교를 혁신학교로 전환하기 위한 준비를 본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