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사측과의 협상을 거부했던 노조 측은 이날 한발 물러서는 모습을 보였지만 파업 여부에 대해서는 협상 과정을 지켜보겠다고 일축했다.
김익환 서울메트로사장과 정연주 서울지하철노조위원장은 중구 태평로 2가에 있는 서울모델협의회 회의실에서 윤진호 서울모델협의회 위원장의 중재로 30분 가량 회동을 가진 자리에서 이같이 합의했다.
윤진호 서울모델협의회 위원장은 회동 후 기자들에게 “이번주 중에 서울시와 노조, 사측에서 각각 2명씩 총 6명으로 구성되는 서울모델협의회 위원회를 열어 구체적인 중재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정연수 노조위원장은 “신뢰성이 확보되면 최소한의 법과 상식이 지켜지는 선에서 자구 노력을 강구할 것”이라면서도 “협상과 함께 쟁의 절차도 예정대로 진행되며 5~7일 실시될 조합원 찬반투표는 압도적으로 가결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해 불씨를 남겼다.
노조는 중앙노동위원회의 조정만료일인 10일까지 합의가 되지 않을 경우 투표 결과에 따라 11일부터 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서울메트로 노사는 앞서 4차례에 걸쳐 단체교섭을 했으나 정년연장 시행방법을 두고 이견을 보이며 갈등을 빚어왔다.
노조는 1999년 외환위기 극복 차원에서 61세에서 58세로 단축된 정년을 공무원의 정년과 연동해 다시 연장하기로 단체협약을 맺었지만 이행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이다. 이에 사측은 1300억 가량의 추가 비용 등을 들며, 지난해 감사원 지적사항인 퇴직금 누진제 폐지를 연계해 추진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