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홍준성 기자=10일 서울메트로(서울 지하철 1~4호선을 운영)와 노조인 서울지하철노동조합(위원장 정연수)이 단체협상을 놓고 최종 협상을 한다. 노조는 지난 7일 11일 부터 파업하기로 예고한 상태이다.
노조는 외환위기 때 61세에서 58세로 단축된 정년을 공무원의 정년과 연동해 다시 연장하기로 단체협약을 4차례 맺었지만 이행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울메트로측은 "단체협약 상 '정년 연장은 향후 공무원의 정년연장과 연동하여 추진한다'고 돼있다" 며 "정년을 연장할 경우 장기근속자의 인건비가 향후 5년간(2014~2018년) 약 1천300억원 정도 추가 소요된다"고 반박했다.
또 서울메트로는 10년 이상 유지해 온 퇴직금 누진제를 폐지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노조측은 누진제를 폐지하려면 그에 따른 손실액을 보상해줘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서울메트로는 파업을 대비해 필수 유지인력(3천2명), 협력업체 지원인력(2천150명), 퇴직자ㆍ경력자(87명) 등 대체인력을 투입, 지하철을 정상 운행한다는 계획이다. 또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지하철 운행을 자정까지로 단축하는 등 추가 보완대책을 구상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