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에 따르면 국제통화기금(IMF)이 중국 사회과학원과 마찬가지로 내년 경제성장률을 8.2%로, 세계은행과 스위스 은행이 각각 8.1%, 7.8%, 골드만삭스가 8%를 전망했다.
린이푸(林毅夫) 교수도 "중국 경제 성장속도가 둔화됐지만 이는 주기적인 것"이라며 "재정이 튼튼하고 기타 선진국에 비해 부채 비중도 낮은 중국은 내년 8% 또는 그 이상의 성장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중인(中銀) 수석이코노미스트 차오위안정(曹遠征)은 "내년 물가가 다소 반등할 것으로 예상되나 크게 오를 가능성은 없으며 연간 인플레율이 3% 가량 될 것"이라며 "중국 경제가 4분기에 하강을 멈추고 내년 안정적인 성장세로 돌아서 8%이상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할 것"이라 역설했다.
이와 함께 중국 전문가들은 세계 경기 침체 속에서 각국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고 있는 가운데 '도시화'를 중국의 고속 경제성장을 유지하는 원동력으로 꼽았다.
상하이(上海) 사회과학원 경제전망연구실의 한 관계자는 "중국이 도시화를 통해 향후 7~8%의 경제성장을 유지할 것"이라며 "도시화가 투자를 늘리고 소비를 촉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차오위안정 중인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외수(수출)가 부진한 상황인데다 소비가 확대되려면 어느정도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현재로선 '투자'가 단기적으로 안정 성장을 이끌 수 있다"며 "도시화를 위한 인프라 건설 등의 투자가 관련 소비를 자극하면서 장기적으로 중국 경제성장을 이끄는 견인차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