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질병관리본부는 최근 한파로 감기 등 호흡기질환 발생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소 2∼3주 이상 기침이 지속되면 결핵을 의심하고 반드시 결핵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결핵의 가장 흔한 증상은 기침이다. 하지만 기침은 감기·천식·기관지염 등의 다른 호흡기질환에서도 관찰되므로 증상만으로는 구별이 어려워, 대부분 감기로 오인하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감기 증상은 1주 정도면 대부분 호전되므로, 특별한 원인 없이 기침이 2주 이상 지속되면 결핵의 가능성을 의심해봐야 한다고 질병관리본부 측은 설명했다.
따라서 2주 이상의 기침·발열·체중감소·수면 중 식은땀과 같은 증상이 지속되거나, 결핵환자와 접촉한 경우에는 증상여부와 상관없이 반드시 결핵검사를 받아야 한다.
또 결핵은 심한 피로·스트레스·무리한 체중감량 등으로 인한 면역력 저하가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평소 충분한 영양섭취로 몸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질본 측은 결핵예방과 전파방지를 위해 평소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휴지나 손수건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는 '기침 에티켓'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했다.
결핵은 전염성 결핵환자의 기침이나 재채기 등을 통해 호흡기로 감염되는 질환이기 때문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