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는 13일 건설사업의 생산성 및 투명성 확보를 위해 향후 5년간 건설사업 정보화 정책의 로드맵인 '제4차 건설사업정보화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향후 5년간 총 637억원을 투입해 건설정보표준 고도화·정보서비스 확대·건설사업정보시스템의 융복합 강화의 3대 핵심전략과 7개 분야 21개 세부과제를 마련해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건설정보모델을 개발해 시설물 생애주기 과정에서 생산·관리되는 대부분의 정보를 기술자·업체·기관 등이 활용토록 할 예정이다.
또 전자도면 작성표준 등 6종의 표준을 부처·지자체 등에 확대 보급하고 공사 제반 단계에서 발생되는 건설정보에 관한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공사시방서·내역서간 연계를 통해 정보 호환성을 개선한다.
건설현장의 품질관리·안전관리·검측 등 업무에 모바일 사업관리 서비스를 개발하고 전산자원의 저비용·효율적 관리를 위해 클라우드컴퓨팅(IT통합관리 모델) 기술도 건설사업정보시스템에 단계적으로 적용한다.
특히 건설사업의 효율성 강화를 위해 공공발주용역 실적·평가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 보상비 집행의 투명성 확보를 위해 범 정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손실보상정보시스템도 개발·보급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계획에 따라 향후 건설사업관리 정보화 정책은 그간의 획일적 양적 팽창에서 질적수준 강화로 새롭게 탈바꿈 될 것"이라며 "향후 기본계획을 토대로 분야별 계획을 수립해 추진방안을 구체화하고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