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현지시간)까지 이틀간 열린 연준의 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그는 “재정절벽이 현실화되면 양적완화(QE) 규모를 더 확대할 수 있지만, 실제 재정절벽이 길어지면 연준도 충격을 다 상쇄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치권이 합의를 성사시키지 못한다면 세금 인상과 정부 지출 감축이 가져올 경제 충격을 다룰 연준의 정책 수단도 거의 없다는 얘기다.
버냉키 의장은 “재정절벽이 임박해지고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기업들의 의사결정 등에 이미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따라서 미국 경제가 재정절벽으로 떨어지면 그동안 연준이 취해온 국채 매입 등을 확대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재정절벽으로 떨어지는 기간이 길지 않다면 그 충격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정치권이 해법을 조만간 찾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2015년까지 기준금리를 제로수준으로 계속 이어간다는 연준의 결정에 대해 버냉키 의장은 “만일 목표한 실업률 6.5%를 달성해서 연준이 금리를 올려야 할 필요가 있을 때 급하게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동안 수조 달러의 돈을 쏟아부으면서 경기부양에 나선 연준은 언제 닥칠지 모를 인플레이션 위협을 걱정하고 있다. 따라서 연준의 경기부양책 출구전략이 언제 어떻게 진행될지가 시중의 관심이었다.
일각에서는 연준이 특단의 경기부양책을 잇따라 내놨으나 성적표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평가다. 물가안정을 지향하는 FOMC 위원들과 경기부양 필요성을 주장하는 위원들이 대립하고 보수 진영을 중심으로 정치권에서 선거를 겨냥한 부양책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버냉키 의장은 “2015년 중반까지 실업률이 6.5%까지 하락하지 어려울 것”이라며 “실제로 그 수준에 도달한다 하더라도 기계적으로 금리를 인상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또한 “금리 인상 시기와 방법이 문제가 아니라 경기부양책으로 적자가 된 연준의 재무제표를 어떻게 해결할지가 관건”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버냉키 의장은 연임 문제에 대해 "대통령과 논의한 바 없다"고 답했다. 그는 대통령은 재정절벽을 비롯해 상당수 직책에 대해 결정할 사안이 많다“며 "나역시 어려운 문제들에 관여하느라 이런 생각할 여유가 없었다“고 말했다.
버냉키 의장은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 재임 시절인 지난 2006년 임기 4년의 연준 의장에 오른 뒤 2010년 오바마 대통령에 의해 재임명됐다. 이번 임기는 오는 2014년 1월 끝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