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김 현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박근혜 후보가 대전에 가서 과학기술인력과 인프라 확충을 통한 대한민국의 부흥을 외쳤으나, MB정권 초기 과학기술부를 폐지할 당시에는 어떤 대응없이 방관하고 이제와서 과학기술 부흥을 말하는 것은 후안무치”라고 지적했다.
참여정부 당시 부총리급으로 격상시켰던 과학기술부는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폐지되고 교육과학기술부로 통합됐다. 그러나 과학기술 컨트롤타워의 부재로 국가과학기술위원회를 다시 만들었다. 결국 교과부와의 업무 중복으로 비효율을 초래했다는 것이 민주당의 설명이다.
김 대변인은 이어 “정권 초기부터 정부출연연구기관을 개편한다며 지난 30여년이 넘는 동안 부처간 이해관계에 따른 통폐합을 추진했다"면서 "그 결과로 이공계 박사 두뇌유출 지수는 20007년 5.89에서 2011년 3.68로 심각한 수준에 도달하며 과학기술의 토대가 무너졌다"고 지적했다.
또한 김 대변인은 지난 5년간 이명박근혜 정권이 과학기술계 비정규직을 양산했다고도 꼬집었다.
그는 "기초기술연구회 소속 13개 연구기관 비정규직 현원은 2008년 2062명에서 2011년 3072명으로 49%나 증가했고, 기초기술연구회 소속 박사급 비정규직 연구원도 2008년 441명에서 2011년 661명으로 49.9%나 증가했다"면서 "비정규직은 대폭 늘리면서 연구자들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연구현장을 떠나게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김 대변인은 "박근혜 후보는 먼저 비정규직 양산과 과학기술계 홀대에 대해 반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