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일이 다가올수록 각 후보 진영에서 '마약'과도 같다는 '네거티브'를 멈추지 못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1992년 14대 대선 직전에 터진 이른바 '초원복집' 사건은 대표적인 네거티브 역풍의 사례로 꼽힌다.
김기춘 전 법무부 장관이 퇴임 후 부산지역 주요 기관장들과 만나 지역감정을 조장하고 민자당 김영삼 후보를 노골적으로 지지하는 발언이 공개된 것이다. 당시 현장 대화가 녹음된 테이프를 통일국민당 정주영 후보 측이 터뜨리면서 막판 변수로 등장했다.
2002년 대선은 대세론마저 무너뜨린 네거티브의 위력을 보여준 선거였다.
1997년 대선에서 장남의 병역기피 의혹으로 곤욕을 치렀던 이회창 후보를 상대로 다시 "장남 정연씨가 불법으로 병역을 면제받았고 이를 은폐하려 했다"는 의혹이 추가로 제기돼 '2차 병풍(兵風)'이 거세게 불었다. 이른바 '김대업 사건'이었다.
대선 6개월 전 군수사관인 김대업씨와 민주당 설훈 의원이 함께 터뜨린 이 사건은 검찰 수사로 이어졌고, 이 후보의 두 번째 대권 좌절로 귀결됐다.
이후 대법원은 2005년 김씨에게 징역 1년 10개월형을 선고했고 대부분의 의혹들은 '유야무야'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17대 대선 때는 한나라당(현 새누리당) 이명박 후보의 독주 속에서도 BBK 의혹이 정국을 뒤흔들었다.
당시 이 대통령을 'BBK 실소유주'라고 주장했던 김경준씨가 입국했고, 한나라당은 청와대와 여권이 김씨 입국에 개입했다는 '기획입국설' 의혹을 제기하며 네거티브에 대응했다.
또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 측은 이 후보 가족의 위장전입과 자녀의 위장취업 의혹도 제기했다.
BBK 논란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이 후보는 당시 'BBK 특검' 수용 의사를 밝히면서 배수의 진을 쳤고 결국 유권자들은 '경제대통령'을 내세운 그의 손을 들어줬다.
올해 대선의 '네거티브 공세'는 현재까지 '뚜렷한 한 방'이 없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는 TV토론 '아이패드 지참 논란', 이단종교 '신천지 연루설' 등이 제기됐지만 폭발적인 효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민주당이 사활을 걸었던 국정원의 대선 개입 의혹 역시 "댓글을 달았다는 흔적이 없었다"는 경찰의 수사 결과 발표로 오히려 민주당이 수세에 몰린 상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