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로 본 22일간의 피말리는 대선 레이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12-18 19:0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주진 기자= 18일로 22일간의 피말리는 18대 대통령 선거 레이스가 끝이 났다.

새누리당 박근혜·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의 초박빙 접전 속에 '야권후보 단일화', '국정원 선거개입 논란', '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 등 빅 이슈들이 막판까지 판세를 뒤흔들었다.

이번 대선은 박 후보를 중심으로 한 범보수대연합과 문 후보를 축으로 뭉친 범야권 진보연대가 충돌한 사상 첫 보·혁(保革) 양자대결로 치러졌다.

◇朴-文, 수도권·PK·충청 집중 공략
지난달 27일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됨과 동시에 두 후보는 각각 주요 승부처인 충청지역과 최대 격전지인 부산을 공략했다. 마지막 날인 18일 역시 '서울~충청~부산'을 잇는 '경부선' 유세를 펼쳤다.

두 후보는 하루에 10군데씩 강행군 일정을 소화하며 전국 곳곳을 누볐다. 특히 역대 대선에서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한 충청지역과 전체 유권자의 절반인 2000만명이 몰려 있고 부동층이 가장 많은 수도권에서 집중 유세를 펼쳤다.

새누리당의 전통적 지지기반인 부산·경남(PK)에서 문 후보는 40% 이상 득표율을 목표로 삼고 집중공략에 나섰다. 박 후보는 민주당 텃밭인 호남에서 15%대 두 자릿수 득표율을 자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수도권 투표율과 충청·PK 지역에서 누가 더 많이 득표하느냐에 따라 당락이 결정될 것으로 분석했다.

◇'안철수 현상', 대선 판세 요동
새 정치에 대한 열망으로 촉발된 '안철수 현상'은 이번 대선의 키워드가 됐다.

안철수 무소속 전 예비후보는 기성정치에 실망한 2030세대, 40대 부동층으로부터 40%가 넘는 지지율을 얻으며 '대세론'을 형성하던 박 후보와 1~2위를 다퉜다.

그러나 안 전 후보는 후보등록 직전 단일화를 이루겠다는 대국민 약속을 지키기 위해 지난달 23일 사퇴했다. 사퇴 13일 만인 6일 문 후보와 전격 회동, '정권교체’'‘새정치'를 다짐하며 문 후보 지원에 나섰다. 이후 각종 여론조사에서 7~8%포인트 격차를 보이던 박-문 후보간 지지율은 점차 좁혀지며 판세가 요동치기 시작했다. 특히 문 후보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박·문 후보 진영은 안 전 후보 지지층 가운데 부동층으로 이탈한 표심을 잡기 위해 총력을 기울였다. 지난달 26일 진보·노동계의 목소리를 대변해온 심상정 진보정의당 후보가 정권교체를 위해 힘을 모으겠다며 사퇴했다. 이어 16일에는 3차 TV토론을 몇 시간 앞두고 이정희 통합진보당 후보도 전격 사퇴해 대선구도는 범보수 대 범진보 양상을 띠게 됐다.

◇3차례 'TV토론', 국민 이목 집중
이번 대선에서는 이례적으로 방송사 주최 후보 토론회가 사라지면서 중앙선관위 주최로 열린 세 차례 TV토론에 국민의 이목이 집중됐다.

1·2차 토론에서는 박 후보를 향해 "박 후보를 떨어뜨리기 위해 나왔다"며 맹공을 퍼부은 이정희 후보가 큰 화제로 떠올랐다. 이로 인해 새누리당은 TV토론회 초청대상 기준을 강화하는 이른바 '이정희 방지법'을 주장하기도 했다.

이 후보 사퇴로 박·문 후보의 양자대결로 펼쳐진 16일 3차 TV토론에서는 '네거티브 선거' 논란을 낳고 있는 국가정보원 선거개입 의혹 수사와 선관위의 오피스텔 불법 여론조작 현장 적발 등을 놓고 뜨거운 설전이 오갔다.

3차 TV토론 당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트위터 상에서도 메시지 수 100만건이 넘어서는 등 반응이 뜨거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여야 '네거티브' 난타전
이번 대선도 역대 대선 때와 마찬가지로 각종 흑색선전으로 얼룩졌다. 이 때문에 이슈 선점이나 정책 대결이 뚜렷이 부각되지 않다보니 유권자들에게 피로감만 줬다는 비판이 컸다.

선거 초반부터 불거졌던 '남북정상회담 NLL 포기발언 의혹'을 비롯해 선거 막판까지 '종북세력과의 연대', '국정원 여직원 불법 댓글 의혹 ', '새누리당 오피스텔 불법 SNS 여론조작 논란', '정동영 노인 폄하 트윗', '김무성 부동층 투표 포기 유도 논란'으로 여야는 공세를 펼쳤다.

각종 인신공격성 막말, 흑색선전도 난무했다. 박 후보에 대한 '신천지 연관설', '1억5000만원 굿판', '아이패드 커닝설', 문 후보의 '고가 의자 논란', '아들 취업 특혜 논란', '저축은행 조사 압력설'이 대표적이다.

양측의 네거티브 선거전에 대한 비난여론이 일자 박 후보와 문 후보 모두 네거티브를 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지만 흑색선전, 진흙탕 공방으로 대선레이스는 막을 내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