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2기신도시 오피스텔 '분양전쟁'

  • 자금난·전세난 피하자 주거 임차 수요자 몰려<br/>투자자 미래가치 관심·주택업계 물량 쏟아내

아주경제 김현철 기자=판교·광교·위례신도시 등 서울·수도권 2기 신도시에서 오피스텔 분양대전이 펼쳐지고 있다.

높은 청약경쟁률을 보인 이들 지역의 신규 아파트 공급이 거의 마무리되면서 1000실 이상의 매머드급 오피스텔까지 가세하는 모양새다.

박상언 유엔알컨설팅 대표는 "이들 신도시내 오피스텔의 경우 미래가치에다 자금난 및 전세난을 피하려는 주거 임차 수요자까지 겹치다보니 주택업계가 경쟁적으로 오피스텔 물량을 쏟아내고 있다"고 말했다.

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2년 전 동월 대비 아파트 전셋값이 광교가 속한 수원 영통구의 경우 25.46%, 판교의 성남시 분당구는 19.22%, 위례의 서울 송파구는 19.3% 치솟았다.

집 한채를 마련하려면 적어도 5억~10억원, 전셋값도 수억원의 자금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따라서 자금 부담을 피해 이들 신도시내 오피스텔 찾는 수요가 크게 늘고 있다는 게 현지 부동산 중개업계의 설명이다.

판교신도시는 하우스푸어가 양산됐던 2008년 분양한 아파트마저도 3.3㎡당 1600만~1800만원의 분양가에서 입주 후 시세가 2500만원 이상으로 뛰었다. 학군 좋은 동판교 아파트에 전셋집을 구하려면 무려 4억원이 필요하다.

이렇다보니 총 구입비용이 덜 드는 오피스텔로 수요자들이 몰리면서 지난해 말 분양한 판교역 푸르지오 시티는 최고 64대 1, 평균 22대 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다.

또 이들 신도시는 준강남권으로 불릴 정도로 강남과의 접근성이 뛰어나다. 위례신도시는 서울 강남권에 자리잡고 있다. 판교의 경우 강남역까지 신분당선을 이용해 16분이면 이동할 수 있다.

광교신도시도 신분당선 연장선이 개통하면 강남까지 이동시간이 확 줄어들 전망이다.

2기 신도시는 베드타운 위주로 개발됐던 1기 신도시와는 달리 지역 내에서 소비와 생산이 가능한 자족도시로 만들어졌다. 이 때문에 지역 내에서 충분히 임대수요를 조달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에 건설사들이 경쟁적으로 오피스텔을 공급하고 있다.

대우건설은 광교신도시에서 '광교 2차 푸르지오 시티'를 분양 중이다. 지하 5층, 지상 10층 4개동에 786실(전용면적 21~26㎡)로 이뤄졌다.

이 단지가 들어서는 신분당선 광교역(가칭) 일대는 앞서 '광교 푸르지오 시티'가 분양된 알짜 입지로 2차가 완공되면 1·2차 총 7개동, 1248실의 대규모 브랜드 오피스텔 타운을 형성하게 된다.

분양가는 1억3000만원선(3.3㎡당 751만원)부터 시작하며, 중도금 50% 무이자 혜택이 제공된다.

SK건설은 판교신도시 업무용지 3블록에서 짓는 '판교역 SK HUB' 오피스텔을 분양 중이다. 지하 6층, 지상 8층 3개동에 총 1084실(전용 22~85㎡)의 대단지다. 신분당선 판교역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다. 또 이 역을 통해 강남역까지 13분대에 접근이 가능하다. 단지 서쪽은 약 34만여㎡ 규모의 낙성대공원과 접해 있다.

현대산업개발은 서울 문정동 일대 동남권유통단지 내 활성화단지 2-2블록에서 총 1403실(전용 25~59㎡) 규모의 '송파 아이파크'를 분양 중이다. 위례신도시와 가까워 신도시의 인프라를 고스란히 이용할 수 있다. 지하철 8호선 장지역이 걸어서 5분 정도 걸린다. 분당~수서간 고속화도로와 서울외곽순환도로 송파IC도 가깝다. KTX 역사가 들어서는 수서역도 직선거리로 1㎞ 이내에 자리잡고 있다.

곽창석 나비에셋 대표는 "공급이 많이 몰리면 공실이 발생하거나 임대수익률이 하락할 수도 있는 만큼 입지와 적정 가격 여부 등을 꼼꼼하게 따져본 뒤 투자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