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센터 “핫머니 유출입 억제 방안 마련해야”

아주경제 유지승 기자=글로벌 유동성 확대 등에 대응해 대규모 핫머니(국제 투기자금) 유출입을 억제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제금융센터는 21일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이 주재한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2013년 주요국의 경제전망과 주요 이슈’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양적완화(QE) 등에 따른 글로벌 유동성 확대와 상대적으로 양호한 국내 경제 펀더멘탈 및 시장의 기대심리 등을 감안할 때 자본 유출입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따라 ‘자본시장 변동성 완화방안 세부기준’을 신축적으로 운영하고, 금융회사가 과도한 레버리지(차입투자)를 자제하도록 건전성 기준을 강화하는 등 핫머니 유출입을 억제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국제통화기금(IMF)와 해외 투자은행(IB) 등이 내년 세계경제 성장이 올해에 비해 소폭 개선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유럽 재정위기 재부각, 美 재정절벽 현실화 등 돌발변수가 존재한다고 우려했다.

따라서 돌발적인 위험회피 성향을 확대하고, 디레버리징 등 신용경색에 대비한 충분한 수준의 외화유동성 확보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대외여건이 어려울수록 재정건전성 등 기본적인 경제 펀더멘털을 견고하게 유지하는 한편, 가계부채 등 잠재적 리스크를 철저하게 관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해외투자은행(IB)들은 내년 중 글로벌 경기가 개선 조짐을 보이면서 한국경제도 점진적으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 경제성장률은 올해 2.3%, 내년 3.0% 내외로 전망했다.

또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관리 가능한 수준이지만 저소득자들의 부채 상환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금융권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엄격한 주택담보대출 규제와 높은 가계부채 수준 등을 고려할 때 단기간내 가시적인 회복이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다.

국내 물가는 내년 중 내수회복과 기저효과 등으로 소비자물가상승압력이 다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나, 여전히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올해 2.3%보다 조금 높은 2.6%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