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원내대표 선거놓고 경쟁 구도 안갯속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대선에서 패배한 민주통합당이 이르면 28일 새 원내대표를 선출한다. 신임 원내대표는 당 비상대책위원장도 겸직하며 대선 패배 후유증을 추스르면서 당 진로의 밑그림을 짜는 중책을 맡는 만큼 이번 경선을 계기로 계파간 세대결 및 권력투쟁이 조기에 불붙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그러나 당초 자천타천으로 거론됐던 인사들 상당수가 출마에 부정적인 쪽에 무게를 두면서 경쟁구도 자체가 안갯속에 빠진 형국이다.

그간 논란이 됐던 문재인 전 대선후보의 대표 대행 권한은 유효하지만, 비대위원장을 지명할 권리는 없다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비대위원장을 겸직하게 될 원내대표는 당 수습과 대선 평가, 전당대회 준비 등을 맡게 된다.

당 선관위는 26일부터 이틀 동안 원내대표 입후보 신청을 받은 뒤, 이르면 28일 소속 의원들을 대상으로 투표를 실시할 것으로 보인다.

원내대표 겸 비대위원장 선출은 당 진로를 좌지우지할 중책이지만, 4개월짜리 시한부인데다 차기 전당대회 출마가 봉쇄된다는 점이 걸림돌이다.

원내대표 후보로는 박영선·박기춘·조정식·전병헌 의원이 거론되고 있으며, 김한길 전 최고위원도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가운데 당내 중진·원로 그룹을 중심으로 당 분열을 막기 위해 추대방식으로 선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민주당 이언주 원내대변인은 지난 24일 당무위·의원총회 연석회의 결과 브리핑에서 "공석인 원내대표 선거는 연내에 하는 것으로 원내대표 선관위에 권고한다"며 "원내대표의 임기는 당헌·당규에 따라 잔여 임기로 하고, 비대위원장은 원내대표가 겸임하기로 결의했다"고 밝혔다.

이 원내대변인은 "비대위원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대선평가위원회를 구성하고, 대선 패배에 대한 반성 및 당 혁신에 관한 의원 워크숍을 조속히 열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의원 워크숍은 원내대표 겸 비대위원장 선출 직후 열릴 것으로 보인다.

또 당무위는 지난달 18일 당대표 사퇴 이후 2개월 이내에 열기로 돼 있는 전당대회 시기를 미루는 특례조항 신설을 위해 28일 중앙위원회를 소집하기로 했다.

특히 이날 당무위는 문 전 후보가 비대위원장을 지명할 권리가 없다고 유권해석을 내렸다.

이에 대해 박용진 대변인은 "문 전 후보에게 위임된 대표의 법적·통상적 권한은 유효하지만, 비대위원장 지명은 법적·통상적 권한과 다른 것이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주류와 비주류 간 입장 차가 여전해 당내 갈등이 다시 표출될 가능성은 높다.

주류 측은 대선 패배의 책임이 '친노 책임론'으로 불거져서는 안 되며 당의 분열을 막는 것이 먼저라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비주류 측은 조만간 열리게 될 의원 워크숍에서 대선 패배에 대한 '친노 책임론'을 적극 거론하려는 분위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