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개 관련 학회, 정보·미디어 전담부처 신설 촉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12-27 18:1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정보통신 관련 25개 학회가 정보·미디어 전담부처 신설을 촉구했다.

한국통신학회, 한국정보통신정책학회, 한국정보기술학회 등 25개 학회장들은 27일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근혜 당선인이 공약으로 내세운 콘텐츠, 플랫폼, 방송.통신, 기기를 아우르는 ICT 생태계 전담부처를 신설할 것을 촉구한다”며 “ICT 재도약을 통해 우리 역사에 새로운 정치적·경제적 도약이 이루어 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보통신 관련 학회장들이 이처럼 입장 발표에 나선 것은 위기 의식 때문이다.

박근혜 당선인이 대선 전 정보통신 전담부처 설립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지만 말그대로 검토 수준에 머무르면서 실현 여부가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고대식 정보기술학회장은 “과학기술부와 해양수산부는 부처 신설이 확실시되는 방향으로 발표되고 있지만 ICT 전담부처는 조직 검토라든가 위원회 신설 수준으로 발표되고 있어 소외되는 느낌이 있다”고 털어놨다.

문형남 지속가능과학회 회장은 “정부조직이 행정학자나 전문가 입장에서 이뤄져야 하는데 정치적인 논리로 진행되지 않나 하는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정보통신 관련 학자들이 위기감을 토로하는 것은 정보통신기술 전문가들이 당선인 캠프의 주변부에만 머무를 뿐 핵심 역할을 맡고 있지 못하기 있기 때문이다.

이들 학자는 현재 접촉 창구조차 제대로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창덕 한국유비쿼터스스마트학회장은 “정보통신 전문가들이 캠프 주변부에만 있다가 정권의 핵심 세력에 진입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들의 고민에는 이공계인 정보통신 전문가들의 비애가 그대로 드러난다.

고대식 교수는 “공학 교수님들 대부분이 말솜씨나 글솜씨가 부족하고 정치권을 설득하는 능력도 매우 부족하다”며 “그렇더라도 필요한 핵심 가치와 내용은 반영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들 관련 교수들이 전하는 현장의 상황은 절박했다.

박진우 통신학회장은 “과기나 해양수산과 달리 정통부는 4개 부처로 갈라져 다가오는 정보통신기술 시대를 대비하기에는 역부족”이라며 “소프트웨어 등 관련 학과에는 학생 지원이 줄어 문제가 되고 있고 관련 중소기업도 없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회장은 “아직도 해외기술에 의존하고 있는 분야가 많고 소프트웨어는 거의 해외 것을 쓰고 있는 등 IT강국은 허명일 뿐”이라며 “창업하라고 독려하고 있지만 정보통신기술 중기 생태계는 망가지고 있고 척박한 땅에서 어떻게 성장하라는 것인지, 기반을 마련하고 키우지 않으면 조만간 위기가 올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정창덕 회장은 “정보통신이라는 풀뿌리 경제를 육성해야 민생 경제와 창조 경제가 달성되는 것이지 양념으로 넣어서 활성화 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이런 사고 방식 때문에 IT 경쟁력이 추락하고 있던 싹도 잘렸다”고 지적했다.

문형남 회장은 “과학기술이 장기적 관점의 투자라면 ICT는 급변하고 빨리 대응해야 하는 측면이 있어 완전히 달라 한 부처에 있으면 바람직하지 않다”라며 “인력 양성을 위해서도 전담 부처가 필요한데 현재는 북한의 장기적인 IT인재 육성에도 못 미치는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