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판길 울산과기대 교수 |
교육과학기술부는 서판길 울산과기대 교수가 단백질(DJ-1)이 조골세포와 혈관내피세포 사이에 상호 작용하는 인자라는 것을 규명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팀은 DJ-1 단백질의 분비가 조골세포 분화과정에서 증가되고 단독으로 혈관내피세포에 작용해 혈관 형성을 유도하며 사람의 골수로부터 나온 중간엽 줄기세포의 조골세포 분화도 촉진한다는 것을 동물모델로 확인했다.
중간엽 줄기세포란 성체줄기세포 중 하나로 뼈·지방·연골 등으로 분화가 가능한 세포를 말한다.
지금까지 DJ-1 단백질이 세포 내에서 항산화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세포를 생존시키는 인자로 작용한다고 알려졌지만 세포 밖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에 대해 밝혀진 바가 없었다.
연구팀은 두개골이 결손된 동물 모델을 통해 DJ-1 단백질이 골 결손 부위에서 뼈와 혈관의 형성을 증가시켜 뼈의 재생을 촉진하는 것을 관찰한 뒤 DJ-1이 결핍된 쥐가 골절되면 뼈의 재생도 늦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서 교수는 “이번 연구로 DJ-1 단백질이 뼈의 재생을 촉진한다는 사실을 밝혀져 앞으로 골절이나 골다공증 등 뼈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의약품 개발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