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주민50%↑, 다문화가족에 긍정적

  • 농진청, ‘농촌에 미치는 다문화가족 영향·기여도’ 조사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농촌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의 절반 이상은 다문화가족이 미혼 남성 결혼문제 해결과 결혼이민여성의 부모 부양 등에 기여해 다문화가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지난해 전국 42개 시·군 농촌지역민 500명을 대상으로 인구, 경제, 문화, 가족사회, 농촌자원 등 5개 영역에 대해 다문화가족이 농촌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기여도를 조사해 15일 이같이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농촌지역민의 55.3 %가 다문화가족이 ‘미혼남성 결혼문제 해결 및 농촌가족사회 유지’에 ‘대체로 또는 매우 기여한다’라고 응답했다. ‘전혀 또는 대체로 기여 안한다’란 응답은 10.8 %에 불과했다.

또 ‘출생률 증가’도 절반 이상이 ‘대체로 또는 매우 기여한다(54.3 %)’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전혀 또는 대체로 기여 안한다(15.7 %)’라는 의견은 낮았다.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 변화 양상’과 관련해서는 남성의 경우 57.5 %가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라고 응답했으며, ‘부정적으로 변화했다’라는 응답도 8.8 %로 조사됐다. 반면 여성은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라는 응답이 64.6 %로 남성보다 높았다. ‘부정적으로 변화했다’라는 응답은 4.6 %로 남성보다 2배 가량 낮게 나타났다. 긍정적으로 변화하게 한 주요 원인으로는 남성과 여성 모두 ‘미혼 남성 결혼문제 해결’과 ‘결혼이민여성의 부모 부양’을 꼽았다.

‘결혼이민자 유입에 대한 효용 평가’와 관련해서는 남성의 58.7 %가 ‘이익이 크다’라고 응답했으며, 17.5 %는 ‘손실이 크다’고 생각했다. 여성은 ‘이익이 크다’라는 응답이 남성보다 낮은 46.1 %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손실이 크다’라는 응답은 여성(23 %)이 남성(17.5 %)보다 훨씬 높게 나왔다.

‘문화다양성 증가’ 및 ‘한류의 세계화’에 대해서는 각각 48.6 % 및 44.8 %가 ‘대체로 또는 매우 기여한다’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전혀 또는 대체로 기여 안한다’라는 응답은 각각 14.3 % 및 15.1 %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있어서 남성은 일본, 여성은 새터민에게 가장 큰 사회적 거리감을 느끼고 있으며 남성은 조선족, 여성은 조선족과 미국인에게 사회적 거리감이 가장 낮아 높은 친밀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순미 농촌진흥청 농촌환경자원과 연구사는 “현재 농촌은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변화해가고 있다”며 “이번 조사결과는 농촌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 전반의 이해를 넓히고 통합된 농촌공동체를 이뤄가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