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방향을 중심으로 의미를 붙인 것도 있지만 대체로 기능 중심으로 작명한 것으로 보인다.
명칭에 비교적 상징성을 부여한 것은 미래창조과학부다.
창조 과학으로 창조경제의 기반을 구축한다는 의미다. ‘미래’라는 수식어를 붙인 것은 미래 지향성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국정기획조정분과 유민봉 간사는 “과학기술이 각 부처에 분산된 것을 미래창조과학부에 통합해서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것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생각하고 있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추상적이라는 일각의 의견도 있지만 선거운동 과정에서 공약으로 자주 언급돼 비교적 익숙한 느낌이 든다는 말도 나온다.
다른 부처 명칭은 조직의 기능을 반영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지은 것으로 보인다.
지식경제부는 산업통상자원부로 바뀐다. 지식경제부가 다소 모호한 인상을 준다는 평가를 받았던 것에 비해 산업통상자원부는 조정된 업무를 그대로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상공업, 무역 등 산업적인 기능과 외교통상부에서 넘겨받는 통상 정책, 에너지·자원 정책 등을 담당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참여정부에서 사용하던 ‘산업자원부’와 비슷한 구조의 작명이라고 평가된다.
농림수산식품부는 해양수산부 신설에 따라 수산 정책을 넘겨준다. ‘수산’을 빼고 그간 담당해왔지만 이름에는 반영되지 않은 ‘축산’을 드러내 농림축산부로 바꾼다.
행정안전부는 안전행정부로 변경한다. ‘안전’과 ‘행정’의 순서를 바꾼 것인데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한다는 점에서 우선순위를 조정한 것으로 보인다.
김용준 대통령직 인수위원장은 “경찰청이 각종 범죄발생 책임 있게 대처하게 생활안전 기능을 단계적으로 보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영문 명칭은 별도의 절차를 거쳐서 결정될 예정이다./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