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18일 발표한 '2012년 지하철 1~9호선 유실물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지하철 유실물센터 접수 물품은 10만1140건으로 지난해 대비 13.1% 증가했다. 다음은 2009~2012년 연도별 서울 지하철 유실물 접수 현황(위) 및 증감 추이(왼쪽 아래), 2012년 서울 지하철 유실물 품목별 분류(오른쪽 아래). [자료제공=서울시] |
아주경제 이준혁 기자=서울 지하철 이용승객들이 지난해 가장 빈번히 잃어버린 물건은 가방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18일 발표한 '2012년 지하철 1~9호선 유실물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지하철 유실물센터 접수 물품은 10만1140건으로 지난해 대비 13.1% 증가했다.
이는 1987년 서울 지하철 유실물센터가 생겨난 이후로 가장 많은 규모다. 근래 연간 유실물 접수 물품 수는 2009년 7만3857건, 2010년 8만297건, 2011년 8만9387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10만건이 넘은 해는 지난해가 처음이다.
품목별로는 △가방(2만2965건, 22.7%) △전자제품(2만2325건, 22.1%) △의류(7925건, 7.8%) △서류(3764건, 3.7%) △귀금속(60건) 순으로 많이 접수됐다. 기타 4만4101건은 현금과 우산, 장갑 등 기타 물품이다.
이로써 서울 지하철 유실물센터가 생겨난 이래 부동의 선두를 지켜오다 2010년과 2011년 '전자제품'에게 유실물 1위 자리를 내줬던 '가방'이 지난해 다시 1위 자리를 되찾았다.
이중 2011년도에 비해 증가폭이 가장 컸던 유실물은 6856건에서 7925건으로 15.6% 증가한 의류다. 반면 귀금속은 117건에서 60건으로 48.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과 비교했을 때 의류는 51.9%나 증가했고 휴대전화ㆍ노트북ㆍMP3 등 전자제품도 38.1% 늘었다.
계절별로는 겨울보다 여름·가을 유실물이 많았다. 지난해 유실물 최다 접수월은 5·7·10월로 각각 9612건, 9520건, 9415건씩 접수됐다. 반면 2월에는 6111건으로 가장 적었다.
유실물을 찾아간 비율을 품목별로 보면 전자제품이 93.6%로 가장 높았다. 반면 의류는 절반 정도인 54.2%에 그쳤다. 시는 주인을 찾지 못한 물건 중 현금과 귀중품은 습득 후 1년6개월이 지나면 국가에 귀속시키고, 기타 물품은 경찰의 승인 아래 사회복지단체 등에 무상으로 넘겨주고 있다.
지하철 이용 중 물건을 분실시 열차번호·하차시간·하차위치 등을 기억해 인근 지하철 역무실이나 지하철 고객센터로 신고하면된다.
시 유실물센터는 시청역(1ㆍ2호선), 충무로역(3ㆍ4호선), 왕십리역(5ㆍ8호선), 태릉입구역(6ㆍ7호선), 동작역(9호선) 등 5곳이다. 1~8호선 유실물센터는 오전 7시부터 오후 10시까지, 9호선은 오전 6시부터 자정(주말ㆍ공휴일 오전 7시~오후 11시)까지 이용할 수 있다.
서울시 홈페이지(www.seoul.go.kr, 분야별정보 '교통'→'분실물센터')에 접속해도 습득물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수시로 확인 가능하다.
백호 시 교통정책관은 "시민들이 열차에 물건을 두고 내리지 않도록 안내 방송을 수시로 하고 있으며, 좌석 위 선반을 물건이 잘 보이는 그물망 재질로 바꾸고 있다"며 "앞으로 열차 내 선반 개수를 줄이는 등 물건 유실을 막기 위한 다양한 시민 아이디어를 청취·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가 18일 발표한 '2012년 지하철 1~9호선 유실물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지하철 유실물센터 접수 물품은 10만1140건으로 지난해 대비 13.1% 증가했다. 다음은 2012년 서울 지하철 유실물 접수 건수(위) 및 인계 현황(아래). [자료제공=서울시] |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