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통신사와 삼성전자·LG전자 등 제조사, NHN·다음 등 인터넷서비스기업이 참여하는 ICT 상생발전 사업자협의체는 23일 공동선언문을 발표하고 “ICT 기업들이 상호간의 이해와 신뢰를 바탕으로 한국 ICT 산업 생태계의 상생발전과 경쟁력 강화라는 더 큰 공동의 목표를 향해 함께 노력할 필요가 있다는 데 뜻을 함께 하게 됐다”고 밝혔다.
국내 통신사-제조사-인터넷기업들이 망중립성이라는 새로운 과제에 슬기롭게 대처하고 협력하기 위해 지난해 초부터 방통위 주관 망중립성 정책자문위원회에 참여한 것이 이번 협의체 탄생의 동력이 됐다.
7개사는 협력과 공정한 경쟁을 통해 윈-윈의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지난 1년간 한시적으로 운영돼 온 사업자협의체를 보다 결속력 있는 형태를 지향하며 정례화 하기로 했다.
협의체는 이용자 편익 향상, 글로벌 경쟁력 강화, 국내 ICT 산업 생태계의 상생 발전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용자들에게 서비스를 보다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제공하고 다양한 니즈와 네트워크 및 서비스 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해 컨텐츠-서비스플랫폼-네트워크-단말기 관련 사업자들이 협력하고 노력할 예정이다.
ICT 산업이 국경을 초월해 세계를 무대로 성장 발전하고 있는 가운데 컨텐츠-서비스플랫폼-네트워크-단말기가 어우러지는 생태계 간의 경쟁 양상에서 앞으로 협력해 보완 관계로 나가지 않으면 경쟁에서 밀려나거나 하청기업으로 편입될 수밖에 없다고 협의체는 판단하고 있다.
ICT 산업은 특정기업의 독주만으로는 시장을 키워갈 수 없는 네트워크 경제의 속성으로 신생 스타트업과 다양한 중소벤처의 공생 발전 속에서 성장할 수 있고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해 경제의 지속성장과 사회 안정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상생 생태계 발전을 위한 주요 ICT 기업들의 선도적 노력이 중요한 시점이다.
사업자협의체는 취지에 공감하는 기업에 그 문호를 개방하고 발전 방향을 함께 논의할 예정이다.
협의체는 공동선언문에서 “한국에 인터넷이 도입된 지 30년을 넘긴 올해 세계 최고의 IT인프라 강국임을 자부했던 한국의 통신-IT기기-인터넷산업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며 “눈부신 IT 산업 발전의 밑거름이 돼 왔던 통신사들은 모바일 트래픽 빅뱅이라는 새로운 환경을 극복하면서 동시에 이를 기회로 삼아 새로운 사업모델을 모색하고 네트워크 고도화를 통해 미래 통신산업의 초석을 쌓아가야 할 책임을 안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이미 세계 정상의 자리에 올라 서 있는 IT기기 제조사들은 해외 경쟁사의 추격을 뿌리치며 글로벌 선두기업으로서의 자리를 굳건히 하기 위해 컨텐츠 및 서비스플랫폼을 아우르는 새로운 생태계를 이끌어 가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며 “척박한 환경에서도 글로벌 인터넷 기업들과 경쟁해온 인터넷 기업들은 모바일 중심의 새로운 시장 환경에서 기술 및 서비스 혁신과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발굴, 그리고 세계 시장 진출을 통해 활로를 찾지 않으면 생존을 보장받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