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 인사이드> 한화의 '선물보따리' 재계로 확산되길

아주경제 김진오 기자=최근 한화그룹이 발표한 비정규직 직원 2043명의 정규직 전환은 뜻밖의 선물처럼 우리들의 마음을 훈훈하게 만든다.

이번 발표는 당장 그 혜택을 받는 한화의 비정규직 직원뿐 아니라 고용계약 갱신 때문에 마음 졸이는 수많은 비정규직들에게 희망의 메시지가 될 듯하다.

실제로 한화가 국내 10대그룹 가운데 처음으로 비정규직 철폐의 칼을 빼들면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바람이 재계 전체로 확산될 가능성이 커졌다.

한화는 계열사별로 비정규직 직원에 대한 평가를 거쳐 최종 확정한 뒤, 3월1일부터 정규직으로 일괄 전환시키기로 했다. 이렇게 되면 그룹내 전체 임직원 중 비정규직 비율은 17%에서 10.4%로 내려가 국내 비정규직 비율 33.8%에 비해 크게 낮아지게 된다. 특히 이번 정규직 전환자중 60%인 1200명이 여성으로 여성인력 고용 안정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 사회는 비정규직의 남용과 차별로 인한 노동 양극화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그동안 경쟁력과 효율성의 냉혹한 경제논리가 우선시되어온 우리 사회에서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이등시민'으로 차별과 고용불안, 저임금에 시달렸다. 그럼에도 정부기관과 기업들은 정규직 전환에 난색을 표하거나 기간제 근로자에 대한 무기계약직 고용 등 생색내기용 대책 마련에 그칠 뿐 간접고용 비정규직에 대한 온전한 해결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비정규직 문제는 사회 양극화를 해소하고 동반성장을 구현하기 위해 박근혜 정부가 반드시 해결해야할 중대한 과제다.

한화의 비정규직 개선방안이 재계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대상자 평가와 정규직 선정작업이 공정하고 투명하게 이뤄져야 한다. 작업이 초기단계라면 내부시스템과 함께 외부 전문가와 기관 등의 객관적인 평가를 활용하는 것도 또 다른 반발과 갈등을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본다. 현대차에서 사내하청 정규직 채용을 놓고 사측의 신규 채용안과 비정규직 노조의 전원 정규직화 안이 충돌하고 있는 것을 남을 일로 봐서는 안될 것이다.

새 정부와 인수위도 재계가 GH노믹스의 핵심인 비정규직 문제에 실질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비정규직의 70%가 몰려있는 중소기업이 '손톱 밑 가시' 빼기 못지 않게 비정규직 문제의 당사자라는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600만명 비정규직들의 설움과 아픔을 보듬고 치유해줄 따뜻한 대책들이 많이 쏟아져 나오길 기대해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