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서 국보급 불상 훔쳐 국내로 반입한 일당 검거

  • 일본서 국보급 불상 훔쳐 국내로 반입한 일당 검거

아주경제 박초롱 기자=일본에서 국보급 불상을 훔쳐 한국에 들여온 일당이 붙잡혔다.

29일 경찰과 문화재청에 따르면 일본의 신사에서 보관하고 있던 불상 2점을 훔쳐 우리나라에서 판매하려 한 혐의(문화재보호법 위반 등)로 김모(69)씨를 구속하고 장모(52)씨 등 4명이 불구속 입건됐다.

이들은 지난해 10월 8일 일본 나가사키(長崎)현 쓰시마(對馬)시 가이진(海神)신사에서 보관하던 불상 두 점을 훔친 혐의를 받고 있다.

조사 결과 일당은 신사 창고 기와를 들어내 구멍을 낸 뒤 안으로 침입해 불상을 훔친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불상은 국보급 불상인 동조여래입상과 금동관음보살좌상으로, 후쿠오카발 부산행 여객선을 통해 국내로 옮겨졌다.

이 과정에서 일당은 부산항에서 정상 통관절차를 밟았으나 ‘위작’으로 잘못 감정된 덕에 손쉽게 훔친 불상을 반입할 수 있었던 것으로 드러나 문화재청의 허술한 문화재 관리 및 감정 수준이 문제가 되고 있다.

부산세관의 한 관계자는 “부산항 문화재감정관실에 감정을 의뢰했더니 두 불상을 ‘100년이 안 된 위조 골동품’이라고 판정해 특이사항이 없다고 판단, 반입을 허용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2개월 뒤, 일본정부가 두 불상의 도난 사실을 한국 정부에 알려오면서 가짜 골동품의 정체가 밝혀졌다.

일본 정부는 우리 측에 수사와 함께 문화재 반환을 요청했다.

이에 공조 수사에 나선 경찰과 문화재청은 두 불상이 부산항을 통해 반입된 사실을 확인하고 절도단을 추적한 끝에 이들을 검거했다.

절도 일당 중 달아난 B(67)씨 등 3명은 아직 추적 중이다.

A씨 등이 훔친 동조여래입상은 우리나라 통일신라시대(8세기) 때, 금동관음보살좌상은 고려 시대 말기(14세기)에 제작된 불상인 것으로 확인됐다.

1974년 일본 중요문화재로 지정된 동조여래입상의 당시 감정액은 1억엔 정도였다.

현재 문화재청은 회수한 불상 두 점이 한국에서 강탈된 문화재인지 감식하는 한편 일본으로 가기 전 소장했던 곳 등을 확인하고 있다.

또 이들이 일본 신사에서 불상과 함께 ‘대장경’으로 알려진 서적도 함께 훔친 것으로 드러남에 따라 경찰은 추가 수사를 벌이고 있다.

경찰의 한 관계자는 “일당은 서적을 범행 직후 신사 주변 야산에 버렸다고 진술하고 있다. 은닉 가능성도 있어 계속 추궁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