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을만 하면 엇비슷한 금융사고가 터지고 있는 것이다. 물론 대형 시중은행에서도 종종 비리, 횡령 등의 사고가 발생한다. 새마을금고 입장에선 유독 자신들만 '비리 백화점'으로 불리는 게 억울할 수 있다.
그러나 새마을금고는 특정 지역 주민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성장하는 상호금융기관이다. 그렇기 때문에 고객들이 시중은행에 비해 새마을금고에 느끼는 배신감이 더욱 클 수밖에 없다.
또 지역 토착세력과 연결되거나 평범한 직원들의 비리에 고위직 간부가 연루되는 일이 많다는 점에서 더욱 심각하다. 새마을금고의 금융시스템과 관리감독 체계 모두 구멍이 뚫렸단 얘기다.
그렇다보니 다른 금융사들처럼 행정안전부가 아닌 금융감독원의 관리감독을 받아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중앙회 회장 및 각 금고 이사장의 연임 가능 기간을 더 축소해야 한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더하고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새마을금고 스스로 개혁할 의지를 갖고 실천하는 일이다. 새마을금고는 지역 밀착형 금융기관이다보니 개인적인 친분 관계로 인해 금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어도 친분만 잘 유지한다면 12년간 이사장을 연임할 수도 있다. 결국 한 개인에 의해 금고가 좌지우지 될 수 있는 것이다.
금융시스템이나 관리감독 체계를 논하기 전에 새마을금고 스스로 '뼈를 깎는' 개혁을 추진하기 바란다. 더 늦기 전에 엄격한 자체 감사를 통해 지위의 높고 낮음을 막론하고 인적 쇄신을 단행해야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