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시에는 선제공격 등의 극단적인 방법도 포함해 모든 대응 방안을 고려하겠다는 것이다.
뉼런드 국무부 대변인은 7일 정례브리핑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6자회담 참가국들이 유엔 안보리 결의 채택과 마찬가지로 함께 대응하고, 나아가 안보리 결의 2087호가 국제사회에서 실제 제재로 이행되는지를 확실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나 “우리는 유엔 안보리 결의 2087호에 규정된 방안에 주력하고 있고, 북한이 행동을 바꾸지 않을 경우 경제적인 압박을 계속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하며 현재로선 미 국무부 입장이 선제타격 등의 강력한 대응 방안과는 거리가 있는 것임을 시사했다.
앞서 지난 6일 정승조 합참의장은 “북한이 핵을 사용한다는 임박한 징후가 있으면 우리가 선제타격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 같은 정 합참의장의 발언이 실제 가능할 것인가에 대해선 회의적이다.
정부 당국자는 “핵실험을 하는 것만으로 선제타격을 할 수 없다”며 “핵실험만으로 군사적 조치가 포함돼 있는 유엔 7장을 적용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뉼런드 대변인은 미국 정부가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에 대해 “핵 관련 행위는 6자 회담 안에서 논의되고, 그것에 대한 정보도 밝힐 것도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