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지난 4일 농약 원제의 표시기준을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시에 관한 국제 표준화 제도(GHS)’에 맞춰 '농약원제 및 농약활용기자재의 표시기준'을 일부 개정해 고시했다고 12일 밝혔다.
GHS는 같은 화학물질에 대한 라벨이나 안전보건자료가 국가별로 달라 화학물질 정보를 국제적으로 통일, 쉽고 일관성 있게 전달하기 위해 마련된 분류 시스템이다.
물리적 위험성에 대한 표시기준은 기존에 폭발성·산화성·극인화성·고인화성 등 총 6개로 나눠졌던 것을 더욱 세분화해 인화성(에어로졸, 가스, 액체, 고체, 고압가스)·자기반응성·자연발화성·자기발열성·폭발성·산화성·극인화성·물반응성·산화성(액체, 고체, 유기과산화물)· 금속부식성 등 모두 16개로 확대했다.
건강 유해성에 대한 표시기준은 기존에 고독성·유성·유해성·부식성·자극성·과성·발암성·유전독성·생식독성 9개로 분류했던 것을 급성독성·피부부식성·피부자극성·심한 눈 손상·눈 자극성·과민성(호흡기, 피부)·변이원성·발암성·생식독성·특정표적장기독성(1회, 반복)·흡인유해성 등 모두 13개로 늘렸다.
환경 유해성에 대한 표시기준은 기존의 환경 유해성을 급성독성과 만성독성 2개로 나눴다.
농약 원제의 표시기준 분류 확대에 맞춰 농약 원제에 표시해야할 그림문자, 신호어(위험 또는 경고), 유해·위험문구, 예방조치문구 등도 새롭게 만들어 표시할 수 있도록 했다.
농진청은 이번 농약 원제 표시기준 개정 고시에 따라 2월부터 신규 등록 신청하는 농약원제는 GHS 체계와 조화된 표시기준을 적용하고, 이미 등록되어 있는 농약 원제의 표시기준은 2014년까지 변경할 예정이다.
유아선 농진청 농자재평가과 연구사는 “이번 국제기준에 맞춰 개정된 농약 원제 표시기준은 앞으로 농약 원제에 대한 국내 취급은 물론 국제 교역을 보다 활성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농약, 원제 및 농약활용기자재의 표시기준' 개정은 지난 2002년 유럽연합(UN)의 지속 발전을 위한 세계정상회의(WSSD)에서 2008년까지 '화학물질 분류표시 국제표준(GHS)'을 도입하기로 합의한 것에 따른 것이다. 신물질에 대한 원제는 2013년에, 기존물질은 2015년에 전면시행 계획으로 추진 중에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