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는 12일 개성공단 상황을 파악해 본 결과 “북한의 3차 핵실험에도 개성공단에는 특이동향이 없다”고 밝혔다.
개성공단에는 하루 평균 800명가량 체류한다. 하지만 설 연휴를 맞아 체류인원이 크게 줄었고 현재 163명이 체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 관계자는 이날 "현재 개성공단에 입주기업과 김호년 부위원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체류하고 있다"며“평일과 다름없이 아무 문제없는 것으로 안다. 신변에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지난 8일 “현재 상황에서 정부가 개성공단을 북한에 대한 제재 수단으로 검토하고 있지 않다. 개성공단이 남북 협력의 중요한 자산이라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밝히며 개성공단 문제는 북핵 문제와 별개의 것으로 선을 그었다.
하지만 (북한 핵실험으로 인한)상황이 상황인 만큼 지속적으로 개성공단을 주시하겠다는 입장이다.
통일부는 이날 김천식 차관이 주재로 긴급 상황점검회의를 열어 현지 체류인원의 신변안전을 점검했고 특히 비상상황임을 고려해 체류하는 사람들은 언행에 각별히 조심해 줄 것을 개성공단관리위원회를 통해 알렸다
외교통상부도 대책회의에서 “재외국민 보호에 만전을 기하도록 지시 내렸다”고 전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물론 북한이 해외 우리 국민에 대한 위해 행위를 했다는 것은 아니지만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재외국민 보호강화 지시가 실행될 예정”이며 “본부 및 재외공관의 근무태세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우선적으로 전 재외공관에 지금의 상황을 전파해 재외국민 보호를 위해 노력할 것”을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