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의 공통점은 대체로 한미 관계에 정통한 인사라는 점이다. '북핵 대응’을 위해 핵심 우방인 미국과의 의견 조율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현실을 감안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김 국방장관 내정자는 한미 군사관계에 정통한 인물로 참여정부 시절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으로 재직할 때 삐걱대던 한미관계 속에서도 당시 버웰 벨 연합사령관과 전폭적인 신뢰관계를 맺어 양국 현안을 무리 없게 소화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윤 외교장관 내정자도 외무부 북미1과장, 북미국 심의관을 거쳐 주미 공사를 역임한 대표적인 ‘미국통’ 인사다. 또 대선 때부터 국가미래연구원의 외교안보 그룹에서 박 당선인의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의 밑그림을 설계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했다.
특히 김장수 내정자는‘안보 컨트롤타워’인 국가안보실장으로 중장기적인 국가안보전략을 수립하는 중차대한 역할을 맡았다. 외교·국방·통일 현안 업무를 주로 맡는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실과 외교부, 통일부, 국방부와의 유기적 관계는 필수적이다.
공교롭게도 김장수 내정자는 김병관(육사 28기) 국방장관 내정자와 박흥렬(육사 28기) 청와대 경호실장의 육사 1년 선배다. 윤 외교장관 내정자와는 인수위에서 간사와 인수위원으로 선임격이었다. 이 때문에 외교안보라인의 파워 실세는 '김장수 내정자'라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한편, 외교ㆍ국방ㆍ통일 등 외교안보 3개부처 인선에서 통일부 장관만 빠진 것을 놓고서도 각종 해석이 나오는 양상이다.
통일전문가인 최대석 전 인수위원이 사퇴한 이후 대북정책 분야에서 ‘구인난’을 겪고 있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
북핵 사태로 남북 관계가 교착 상태를 이어갈 공산이 큰 상황을 고려할 때 박 당선인의 대북정책기조인 한반도신뢰프로세스가 수정될 가능성이 높아 통일부 장관 인선에 변수가 생겼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