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 관절염...젊은 층도 안심 못해

  • 여성 중심으로 환자 증가 추세

아주경제 강규혁 기자=최근 중장년층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퇴행성 관절염 환자가 젊은 층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퇴행성관절염은 관절부위의 외상·관절의 과다 사용·어긋난 모양으로 잘못 연결된 관절·과체중으로 관절과 연골에 과도한 부담이 있을 때 주로 생긴다.

최근에는 특히 하이힐 착용이 잦은 여성들을 중심으로 이러한 조기 퇴행성 관절염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퇴행성 관절염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

관절염의 경우 무릎 안쪽의 관절연골이 닳아 서서히 오(O)자형의 휜 다리가 되며, 체중이 무릎 안쪽으로 실려 안쪽의 퇴행성 관절염이 점점 악화되게 된다. 관절염이 악화되면 무릎이 안쪽으로 휘어져 내반슬 및 안쪽 관절 간격이 감소되기도 한다.

이동주 모두병원 원장은 "지금까지의 퇴행성 질환은 나이가 들어야 생기는 질환이었으나 최근 들어서는 20대부터 40-50대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환자들이 병원을 많이 찾고 있다"며 "평소 무릎 관절을 강화할 수 있는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