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면서 다른 결과를 기대해 왔다. 최근 3년 사이 한반도 정세를 뒤흔든 메가톤급 사건들이 꼬리를 물었지만 우리의 대응 태세는 한결같다. 북한이 3차 핵실험을 할 때까지 눈 질끈 감고 기다려 주는 사이 문제에 대응하는 태도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으면서 다른 결과를 기대해 온 것이다.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북한을 비난하면서도 관련국에 자제와 냉정한 대처를 촉구한 중국 당국의 대응도 종전과 크게 달라진 게 없다.
북한은 한반도를 둘러싼 미국·중국 간 대립 상황을 교묘히 이용해 핵보유국의 길을 걷고 있다. 중국의 부상과 함께 북한의 도발 세기도 그 정도를 더해가고 있다.
그러나 위기는 곧 기회라고 했던가. 우리는 이제 조금 다른 방식으로 북한 위협에 대응하는 자세를 갖춰야 한다. 중국이 부상하고 미국이 쇠퇴하는 동북아 세력교체기를 맞아 주도면밀한 신(新)개념의 통일전략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중국의 과거를 살펴보자. 중국이 구사해온 양안통합전략이 눈여겨 볼만한 대목이다.
중국은 대만과의 정치적·군사적 대치 상황에도 오래전부터 민간창구를 활용해 양안 경제통합에 공을 들여왔다.
중국은 대만에 적용했던 같은 방식을 북한에 적용하려 하고 있고 아시아 전체가 중화경제체제의 중심으로 재편될 날을 꿈꾸고 있다.
대만 독립을 주장하는 민진당의 세력은 갈수록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경제통합의 열기가 군사적 냉전구도를 녹여가고 있는 셈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하고 있나. 여진히 북핵 위험에 군사력 증강 태세만 갖추고 긴장해 있을텐가. 조금 다른 눈으로 더 큰 세상을 바라봐야 하지 않을까.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