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는 오는 22일 시마네현이 주최하는 '다케시마(일본이 주장하는 독도 명칭)의 날' 행사에 차관급 인사를 파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고 현직 의원들도 역대 최다 인원이 참석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아사히 신문은 16일 아베 신조 내각이 '다케시마의 날' 행사에 현직 참의원(상원)이자 차관급인 시마지리 아이코 내각부 정무관을 파견하는 걸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아이코 정무관 파견은 영토 문제에 단호하게 대처한다는 아베 신조 정권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전했다.
시네마현도 18일 올해 이번 행사에 자민당의 호소다 히로유키 간사장 대행 등 18명의 현직 의원들이 참석할 예정이라고 밝혀 한국을 더욱 자극하고 있다.
이는 2011년 행사에 일본 민주당 소속 2명을 포함해 국회의원 13명이 참석했던 것보다 더 많은 수로 역대 최다 현직 의원이 참석하는 것이다.
시네마현은 앞서 '다케시마의 날' 행사에 아베 총리를 초청했지만 오는 25일 한국의 대통령 취임식이 예정돼 있어 총리가 직접가는 것은 부담이 될 수 있어 그 아래선에서 보낸다는 분석도 있다.
이 같은 일본의 독도 도발에 남·북이 하나로 강력하게 규탄에 나섰다.
우선 국회의원들이 논평과 브리핑을 통해 강한 어조로 일본을 비판했다.
이상일 새누리당 대변인은 일본의 독도 도발 보도가 나온 직후인 18일 논평에서 "일본 정부가 아베 신조 총리 취임 이후 관례를 깨고 고위 관료를 보내기로 한 것은 독도 침탈 야욕을 노골적으로 드러낸 것인 만큼 강력한 유감을 표명하지 않을 수 없다"며 말했다.
정성호 민주통합당 수석대변인도 이날 국회 브리핑에서 "새 대통령의 취임식을 앞둔 시점에서의 이 같은 일본의 외교적 도발의 저의가 혹시 북핵 위기와 한국의 정권 이양기를 틈타 독도 침탈의 야욕을 드러내는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며 "향후 한일관계를 위해서도 바람직않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북한도 18일 노동신문을 통해 "영토문제에서 일본과 그 어떤 타협도 있을 수 없다"며 불쾌감을 나타냈다.
일본 정부는 정권이 출범한 지 얼마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케시마의 날' 행사를 정부가 주최하는 것에는 머뭇거리고 있는 입장이지만 의원 참여 등을 통해 일본의 속내는 당당히 드러내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시마네현은 지역 어민들의 동해 어업권에 대한 불만 등으로 2006년부터 매년 2월22일을 다케시마의 날로 정해 기념행사를 열어왔다.
2월22일은 시마네현이 1905년 독도를 일방적으로 편입한다고 고시한 날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