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이자비용은 9만5387원으로 전년보다 8.6% 증가했다. 이는 전체 소득의 2.34%로 전국 단위 조사를 시작한 2003년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 가구 소득의 증가율(6.1%)이 이자비용 상승률(8.6%)에 못 미친 데 영향을 받은 것이다.
이를 연간으로 환산해 보면 한 가구가 지난해 평균 114만4644원을 이자로 낸 셈이다.
통계청의 이자비용은 주택을 사기 위한 대출이나 가계 운영 등을 위해 빌린 돈에 대한 비용을 뜻한다. 이 때문에 사업 목적을 비롯한 기타 대출까지 포함하면 실제 가계의 이자비용은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가계의 이자부담은 2003~2007년 1.65% 내외를 유지하다가 2008년 1.92%로 뛰어올랐다. 이후 2009년 1.95%, 2010년 2.14%, 2011년 2.29%로 점차 가중되고 있다.
소득 분포별로는 상위 20% 계층의 이자 부담만 줄었을 뿐 나머지 전 계층의 부담은 크게 증가했다.
소득 상위 20%인 5분위의 소득 대비 이자비용 비중은 2.06%로 전 계층 가운데 가장 낮았다. 고소득층의 이자부담이 가장 덜하다는 뜻이다.
더욱이 5분위는 이자부담이 전년 대비 줄어든 유일한 계층이기도 하다. 소득이 6.1% 증가한 반면 이자비용은 0.8% 늘어나는 데 그쳤다. 2011년 이자부담은 2.16%였다.
4분위는 2.56%, 3분위는 2.53%로 중상위 소득계층의 이자부담이 높았다. 1분위는 2.38%, 2분위는 2.48%였다.
전년과 비교해 1~4분위 모두 이자부담이 증가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2분위(2.17%→2.48%)와 4분위(2.38%→2.58%)의 이자부담이 크게 늘었다. 이들 계층의 이자비용은 지난해 각각 21.4%, 14.1%나 급증했다.
이처럼 지난해 고소득층의 이자부담이 줄어든 것은 부동산 경기침체로 고소득층의 대출 수요가 감소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고소득층은 주로 주택 구매를 위해 대출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반면, 중저소득층의 이자부담이 커진 것은 2011년부터 정부가 가계부채 총량을 규제함에 따라 저신용자들이 은행권에서 대출을 받지 못하고 고금리 대출로 내몰렸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