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올해 3.6조원어치 사회적약자기업과 거래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서울시가 올해 사회적 약자기업에서 총 3조6000억원어치의 물품이나 용역 등을 사들인다.

서울시는 올해 시와 16개 투자·출연기관, 25개 자치구를 통틀어 사회적 약자기업의 구매 규모를 총 3조6010억원으로 확대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3조3877억원 보다 6% 늘어난 것으로 공공기관 최대 구매력에 해당한다.

시는 지난해부터 정책적 배려가 필요한 중증장애인 생산품판매시설, 사회적·장애인·자활·여성기업, 기타 중소기업의 판매를 지원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마을기업과 협동조합까지 포함된다.

서울시는 사회적기업 등 중점관리기업이 주로 생산하는 제품의 구매를 늘려 파급효과를 최대화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중점관리기업의 실적을 품목별로 보면 쓰레기봉투, 인쇄, 복사용지 등 물품이 많았고 용역 및 공사는 교육, 청소, 집수리가 두드러졌다.

사회적 약자기업의 민간 시장 판로확보를 위한 종합지원책으로 ▲연간 구매 정보 사전 공개 ▲공공구매지원센터 설치 ▲온라인·모바일·케이블 채널 활용한 유통판매망 확대 ▲희망 서울 구매 엑스포 개최 등을 추진한다.

특히 공공구매 입찰에 탈락한 기업들의 실패 원인을 분석하고 취약부분을 보완하는 프로그램도 상반기 중 가동된다. 시는 또 연간 구매 정보를 미리 제공해 영세한 기업들이 미리 입찰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다.

더불어 각종 계약정보와 지원제도를 활용해 시와 업체의 중간에서 구매 확대를 효율적으로 연계하는 '공공구매지원센터'가 곧 은평구 옛 질병관리본부에 들어선다.

강종필 서울시 재무국장은 "시의 구매력을 중점관리가 필요한 사회적 약자기업이 성장하는데 집중하겠다"며 "민간기업과 시민들이 구매할 수 있는 유통망을 더 넓힐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