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도에 따르면, 도내 미세먼지(PM10)와 이산화질소(NO2)의 농도는 49㎍/㎥와 28ppm으로, 2006년 68㎍/㎥와 31ppm보다 각각 28%,9.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대 최소치를 기록했던 2011년 56㎍/㎥와 30ppm보다도 미세먼지는 12.5%, 이산화질소 농도는 6.7%감소한 수치다.
시·군별로 살펴보면 안양, 의정부, 광주, 김포 등 6개 市는 미세먼지 농도 10㎍/㎥이상, 남양주, 동두천, 양평은 이산화질소 농도 0.005ppm이상 감소했으며, 수원, 성남, 용인, 안산 등 주요 대도시를 포함한 대부분의 市에서 오염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2006년부터 당시 높은 오염도를 기록했던 미세먼지와 이산화질소 농도를 낮추기 위해 대기질 개선대책을 마련하고,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대책을 비롯해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에 대한 관리 강화 등을 추진해 왔다.
황사감소도 대기질 개선의 주요 요인으로, 실제로 2011년에는 9회의 황사 유입이 있었지만 지난해는 2회의 약한 황사만 발생했었다.
도 양정모 기후대기과장은 “수도권은 파리, 도쿄 등 선진국 주요도시에 비해 미세먼지는 1.8~3.5배, 이산화질소는 1.2~1.7배 높다”며 “전국 환경오염물질 배출업소의 36%가 밀집해 있고, 대기오염원인 인구, 자동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경기도의 상황을 감안하면 미세먼지와 이산화질소가 계속 줄고 있다는 것은 고무적 상황”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